유한계급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4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有閑階級 - 생산활동에 종사하지 않으면서 소유한 재산으로 소비만 하는 계층
  
소스타인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은 출간된지 10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 유효한 논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자본주의가 심화되고 이에 따라 불평등이 더 심화되어가고 있는 요즘 그의 이야기는 더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많은 광고들이 그의 이론대로 움직이는 느낌을 받습니다. 광고의 문구는 남들과 다름을 위해서 자신의 물품을 사야한다는 이야기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바로 베블런효과에 바탕을 둔 이야기입니다. 과시적 소비행태는 베블런이 이야기 중 핵심입니다. 명품이 잘 팔리고 가격이 높을수록 더 잘 팔리는 소비 행태에 대한 강력한 근거이기도 합니다. 
  
베블런은 이런 과시적 소비 혹은 유한 계급들의 행태에 대해 역사적인 고찰을 통해 밝힙니다. 자신의 계급을 과시하고 금권력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그들은 보다 덜 생산적인 곳에 자신의 많은 것을 쏟아부었다고 합니다. 약탈을 통해서 그들의 전리품을 과시하던 시기를 지나 농경사회에 접어 들어 개개인들의 재산형성이 강해지면서 이들의 계급 분화는 더욱 심해지고 이것들이 결국은 자기 과시의 어떤 소비행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자신들의 차별화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것들이 오늘날에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는 명품의 소유였습니다. 은제수저에서 오늘날 고급 명품, 고급 스포츠카 등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드러내기 위한 행태로의 소비가 바로 과시 소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보수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그의 통찰력은 빛났습니다. 대개 우리가 생각하기에 사회적 지위가 낮고 경제적 소득이 적을수록 현 사회에 대한 불만이 높아 진보쪽으로 기울 것이라 생각하는게 대개 그 반대의 경향이 드러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저도 많은 궁금증을 가졌는데 베블런의 이야기는 명쾌했습니다. 바로 그들의 하루 살이 삶에 대한 힘겨움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들이 만약 기존 사회에 저항을 했을 경우 그들이 당장 얻을 수 있는 것들은 기존에 얻을 수 있는 것보다 오히려 적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기존 체제에 철저히 순응할 수 밖에 없다는 논리는 매우 설득력이 높아 보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스스로 베블런재에 빠져들어 있지 않은지 합리적 소비에 대한 좀 더 많은 고민을 하게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물론 책은 진도가 매우 느렸습니다. 쉽게 책장이 넘어가는 책은 아닙니다만 오늘날에도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이론으로 현대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