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과 데이트하러 떠난 길 위에서
김연정 지음 / 매직하우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산 공원에 가면 우리는 안중근이라는 인물과 만날 수 있다. 

새로 지어진 기념관도 있고 공원 곳곳에 그의 흔적을 담아 놓았다. 

그래서 남산에 가면 오롯이 그의 생각을 할 수 있다.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인물로만 알려진 그는 사실 사상가였고 혁명가였다. 

그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보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은 우리에겐 참 불행한 일이다. 

중고등학교 6년간 역사라는 과목을 배우지만 정작 우리의 구한말부터 일제치하의 독립운동사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듯하다. 좌우를 떠나 독립에 힘썼던 의사들에 대한 역사가 재조명되어야 하는데 안타깝다. 

남과 북이 갈린 오늘날에는 이념에 따른 개개인의 평가가 엇갈리기 때문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그래도 안중근의사 정도면 행복하다 싶겠지만 그의 후손들은 그에 걸맞은 대접은 받지 못했다. 이게 현실이다.


김연정의 이 소설은 혼란스러웠던 촛불 정국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러나 작가에게 혼란의 시간을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바꾸어버린 우리의 현실과 안중근이 태어나고 자랐던 시기가 적절히 오버랩 되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나라같지 않은 나라가 그 때도 그리고 촛불정국 당시에도 존재해서 그랬을까? 

김재규와 안중근의 거사일이 같다는 이유로 시작되는 모티브는 내게 그리 와 닿지는 않았다. 

단지 친일파나 일제의 원흉을 쏘았다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안중근의 이야기를 소환하는 것은 억지춘향 느낌이 내게는 들었다. 거의 보지 않는 예능 프로인 런닝맨의 이야기에서부터 안중근의 이야기 그리고 현실의 정치 사회 이야기까지 섞어 놓은 이 소설로 나의 마음이 빨려 들어가지 않는 것은 왜일까? 마치 얼마전 방송했던 이영애 주연의 “사임당 빛의 일기”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시작 전엔 아주 큰 관심이 많았는데 정작 타임랩스라는 소재가 상당히 어울리지 않은  그런 느낌말이다.


물론 40대 초반을 지나는 나의 감각이 지금의 트렌드에서 비껴나 있기 때문에 그럴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적어도 내게는 드라마도 소설도 처음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몇 페이지를 넘기지도 않았는데도 빨려 들어갔던 책도 있었고 1부의 10분도 보지 않았는데 눈을 떼지 못하는 드라마도 있었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도입 부분이 내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 

여기에 조금은 산만한 느낌이 없지 않는 편집까지 이 책을 읽기 위해 나는 몇 번이고 내 마음을 다잡았다. 

눈을 감고 작가의 글을 시각화시키려 했지만 그럼에도 그리 재미있는 연출은 되지 않았다. 둘 중의 한명은 틀린 셈이다.

시간이 조금 지난 후 나는 다시 한 번 이 책을 읽어볼까 한다. 

마음은 언제나 변할 수 있고 생각은 언제나 자유로울 수 있으니까. 

다만 남산 안중근의사 기념관에 갈 때면 이 책의 내용이 조금 머릿속에 떠오를 것 같다. 

이 책이 내가 읽은 안중근의사에 관한 첫 번째 소설책이기에.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