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얼굴의 백신
스튜어트 블룸 지음, 추선영 옮김 / 박하 / 2018년 6월
평점 :
어린 아이를 둔 아빠로서 또한 백신 회사의 소액주주로서 백신에 관한 책이라는 것이 나의 호기심을 이끌었다.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보호자인 내게 주어진 것은 아이의 예방접종 스케쥴 이었다.
상당히 많은 백신접종은 국가가 무료라는 이유만으로 내게 의무사항으로 주어졌다.
아이 수첩이라는 것은 백신 접종 일기장이고 이 때에 맞추어 나는 아이와 병원을 드나들기 시작했다.
정작 아이가 아파서 병원에 간 것은 두번 정도이고 대부분의 병원 행은 백신을 맞추기 위해서였다.
의사는 자세한 설명보다는 간단한 부작용에 대해서만 이야기해줄 뿐이고 우리는 그냥 기계적으로 맞추는 백신 주사에 대해 간혹 의문을 담기는 했지만 이마저도 부작용에 관한 우려 때문이지 백신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 것은 아니었다.
왜 백신을 맞아야 하는가?
백신은 꼭 필요한 것인가?
이 책은 백신에 대한 맹신과 불신의 관점에서부터 시작한다.
단순한 의료행위에서 벗어난 정치적, 경제적 견해 그리고 과학적 진보주의 담론에 이르기까지 백신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다.
왜 백신은 국가적 사업이 되었고 공공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공공재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는지도 우리는 의문을 갖지 않고 살아왔다.
백신의 문제는 단순한 의료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문제와 결부되어 있고 세부적으로 나아가 윤리적인 문제에도 걸쳐있는데 말이다.
이 책은 그 무관심했던 그리고 무지하게 받아들였던 우리에게 작은 파문을 던지는 책이다.
일독으로는 부족하고 최소한 3번 정도는 읽어야 이 책의 가치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한다.
p.s.
이 책을 읽으며 몰랐던 백신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점을 다시 검색하며 알게 되었고 기존에 이름만 알았던 세계의 유수 제약회사들을 다시 공부하게 되었다. 여러 사항들에 대한 지식은 물론이고 약 100년간에 걸친 백신에 관한 역사를 공부할 수 있는 아주 색다른 시간이었다.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