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는 내 영혼에 이르고 2
오에 겐자부로 지음, 김현경 옮김 / 은행나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354

다 잘되었다! 모든 인간에게 마침내 찾아올 것이, 그를 찾아왔다.​



요즈음의 더위만큼이나 뜨겁고 외로운 소설이다.

등장인물들도 외롭고 갈팡질팡 하는 나도 외롭다.

과거를 통해 오늘을 또렷이 경고하는 문학적 선구안도 외롭다.



멸망을 경고할 수밖에 없는 예민함은 경고의 대상이다. 인물들은 가진 것이 없으며 남길 것도 없으니 가장 먼저 뛰어나갈 수 있다.



어찌저찌 읽다보니 가장 큰 두 개의 줄기로 이해의 맥을 찾는다면 ㅡ 70년대, 냉전이 극에 달하고 자연재해와 인재(핵) 모두에 노출된 일본의 사회적 결핍자들을 중심으로 읽을 것인가. 혹은 소설의 마지막에 쓰인 '다 잘되었다'는 문구가 떠올리게 하는 성경 속 천지창조 후에 '보시기에 좋았더라'와 예수의 십자가 발언 '다 이루었다'를 엮어서 볼 것인가.



결핍자들로 이루어진 자유항해단 내에서도 장애인, 연소자, 어린 여성은 또다른 결핍이다. 특히, 이나코(미성년자다)는 성의 배출구이자 식모이자 (주인공 이사나의 자폐아 아들 진)의 계모이자 주요한 결정에서는 병풍 역할을 맡지만 소설은 여성을 대변하는 역할로서 작가의 여성 서사의 한계를 들여다보는 인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당대 일본 여성상의 폭력적이자 착취적 시선을 명확히 지적하는 서사적 비극으로 볼 것인가.








주인공인 '오키 이사나'의 이 이름은 가명이다. 본명은 언급되지 않는다. 가명을 사용하는 이유로 소설 초반에선 새로운 자아, 주체적 인생을 살기로 한 그의 선택으로 그려지지만 자유항해단에 귀속되고 이나코와 관계하고 핵셸터에서 자위대의 포위전에 갇혀 있으면서도 끝내 자신의 이름을 노출 시키지 않는 서사가 보여주는 것은 회피적인 태도다. 그리고 나는 저자가 이 모습을 결코 숨기지 않았음을 봤다고 생각한다.



이 소설의 형상은 아직 각기 외따로 존재해서 둥둥 떠다닌다.



다소 인정하기는 싫지만, 극단적인 냉전 국면이 파국을 예고하던 70년대의 모습이 이미 결정된 것이나 다름없는 기후변화에 의한 종말의 초읽기를 앞둔 무책임한 세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 소설이 홍수의 징후로 짐작하는 폭력과 성적 기만, 탈진을 외면할 수만은 없게 된다.



*이 도서는 은행나무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