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정도서ㅣ
p512 안톤 체호프 <구스베리>
나는 이 부분을 읽을 때마다 새롭게 감동받고 설득을 당한다. "모든 만족하고 행복한 자의 문 뒤에는 반드시 작은 망치를 든 불행한 사람이 있어 계속 거기서 문을 두드리며 그가 아무리 행복하다 해도 조만간 인생은 발톱을 드러낼 거라고, 고통이, 그러니까 병과 가난과 상실이 찾아올 거라고... 상기시켜 주어야만 하오." 나는 이 말을 믿는다. 그리고 체호프도 분명히 믿었다고 장담한다.
#마차에서 #안톤체호프
#가수들 #이반투르게네프
#사랑스러운사람 #안톤체홉
#주인과하인 #레프톨스토이
#코 #니콜라이고골
#구스베리 #체호프
#단지알료샤 #톨스토이
다행하게도 이 작품들은 수록되어 있다.
러시아 단편 일곱편을 '작가'의 입장에서 분석, 비평한 시러큐스 대학의 글쓰기 강의를 책으로 펴낸 것으로 일종의 작가론까지 겸하고 있다.


이 작품의 작가가 체호프가 아니라면, 톨스토이나 고골이 아니라면 이렇게까지 분석하거나 중의적인 지점에서 고민할 필요도 전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작가든 독자든 소설의 진의를 살피기 위해선 자신의 저변을 확대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감동적이라기보다는 '낭비 없는 글쓰기'의 요체인 '단편 분석'에 관한 이지적인 단계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배울 것이 넘친다.
특히 체호프.
저자인 손더스는 인과관계, 이 문장과 이 다음 문장의 상호 호응되는 관계를 첫 주제로 삼는다. 이야기가 자연스레 사실성과 설득력을 갖추는 동시에 목표하는 곳으로 인도해야 한다는 것.

딱히 말하지는 않지만 이 상호작용, 연쇄적인 작업은 필수적으로 아름다워야 한다. 직유, 은유, 묘사하는 방법을 왜 말하지 않았을까... 그건... 이 책은 이미 데뷔 가능한 수준에 이른 학생 단 6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세계가 받아들이고 시간이 흘러도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의 요체는 지적일 것, 그리고
p585 <단지 알로샤>
그는 이론적으로는 알료샤를 존경하고, 그래서 알료샤의 묵종과 명랑한 순응을 찬양하는 이야기를 썼지만, 톨스토이의 정직한 예술성에 감동한 이야기 자신이 그 메시지를 차마 선명하게 전달하지 못한다.
결국 작가 자신과 결부될 수밖에 없는 동시에 벗어날 자유를 필요로 한다는 것.
생각해보니 어떤 면에서 이 작가 수업은 윤리적이다.
p.s. 어느 순간 이 독법으로 #슬램덩크 와 #더퍼스트슬램덩크 를 분석하고 있는 나를 발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