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 2 코리안 디아스포라 3부작
이민진 지음, 유소영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증정도서

p39

그녀에게 지옥이란 지불해야 하는 청구서로 가득 찬 세탁물 바구니가 줄지어 놓여 있고

보통 책의 앞이나 뒤에 붙은 '작가의 말'은 사족으로 여기는 편인데, 이민의 기억과 어린 시절부터 학업, 결혼, 투병, 출산과 육아에 이어 유복하지 않은 상황에서 별다른 이슈(?)없이 보낸 작가로서의 재교육 기간과 습작의 시간 11년의 회고는 이 소설을 더 풍성하게 해준다.

(이후 #파친코 가 나오기까지 다시 11년이 걸렸으니...)

끝없이 습격하는 불확실성, 한 인간이 보여주는 더럽고도 매력적인 장면들, 쉴새없이 불편하게 만드는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 이상하리만큼 따뜻해서 처음엔 피했던 사람들과 황홀한 X새끼들까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절대 떠날 수 없는 한인 사회와의 (좋든 나쁘든 존재하는) 수많은 연결 고리와 빈번한 정체성 확인은... 이민을 갔으나 한인 교회와는 절대 엮이지 않으려던 친구를 생각나게 해줬다.

나는 그런 특수한 공동체에 속했던 경험이 없으니 유난하게 느끼지만, 저자의 문투에선 장단점이 느껴진다. 이러나 저러나 미우나 고우나 한 민족이라는 점과 머나먼 타지에서 다양한 직업군에 종사하며 이루어지는 품앗이가 '케이시 한'과 '엘라 심' 같은 이민 2세대의 삶에 조각조각 덧붙여져 있다.

재수없지만 쟤가 내 친구라는 것, 열등감을 느끼게 하지만 힘든 일을 겪고 있으면 또 짠한 마음이 드는 관계. 근데 어쨌든 재수없고.

잠깐만 한 눈을 팔면 온갖 청구서가 몰아치는 뉴욕에서 이리저리 남자친구들의 집과 가족과 친구의 집과 멘토인 사빈의 아파트에까지 떠도는 20대 케이시의 모습은 정체성 정치의 한복판에 선 이민자, 한인 이민자, 특히나 가부장제까지 답습하는 한인 이민자 가정의 여성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

똑똑하고 매력있으면서 독립적인 삶을 요구하며 요구 받지만서도 '누군가의 그늘'과 이어붙여지는 삶.

케이시는 열심히 방황의 축제를 벌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