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슬럿 - 젠더의 언어학 Philos Feminism 3
어맨다 몬텔 지음, 이민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증정도서ㅣ

p176 - 이탈리어에서 '세그레타리오segretario'라는 말은 장관처럼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올라 있는 남성을 말한다(대체로 남성이 전통적으로 맡은 역할이다). 그런데 여성형인 '세브레타리아segretaria'의 경우는 저임금 안내 직원(전통적으로 여성이 맡은 역할)을 나타낸다.

언어를 통제한다는 것, 통제된 언어의 기저에 도사린 불평등과 불균형한 지형적 왜곡.

같은 욕설을 써도 '~놈'보다 '~년'의 위계가 현저히 낮은 곳에 위치하며, 말이 그러하듯 같은 일을 하고 같은 상사의 위치에서도 '여성' 그 자체의 핸디캡.

어렸을 때 '엠창(mother f~)'라는 말을 쓰는 동급생들이 많았지만, 그중에 누구도 '앱창'이라는 말을 쓰진 않았다. 대체로 쓰는 놈들은 정해져 있었지만, 남중남고의 바닥도 아니고 소위 '중간층'이 이런 식이었다. 아닌가, 바닥이 이 정도로 두껍게 포진했던 것이었으려나?
(그리고 나는 소위 '헬창'이라는 표현이 위와 같은 난맥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창'은 명백히 성착취에 근한 말이다.)

같은 욕을 덧붙이더라도 여성으로 지칭하면 더 큰 상처를 입힐 거라는 기대 심리는 이중으로 역겨운 것이다.

언어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퀴어'같은 단어처럼 여성 비하 욕설 또한 재전유 가능하며 어그러진 언어의 체계를 향해서 2019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전복하기를 시도한다.

언어의 위계와 권력관계, 성별 이분법적인 단어 범주, 여성 편향적 교정어, 쿠션어(와 #보컬프라이 ), 남자들끼리의 (추잡스런) '락커룸 대화', 문법 편력적 엄숙주의 등을 말한다.

모두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중 #캣콜링 으로 97% 여성이 불쾌감과 위협을 느끼지만 '자신의 의도는 칭찬이었으므로 앞으로도 하겠다'고 지껄이는 백인 남성 인터뷰에선 🤢

대부분의 한국 남자들도 많이 다르지 않아서 한 번 더 🤮

이 전복의 장에서 '욕설' 또한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친교적 욕설(친구사이의 bitch, slut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저자의 의견에는 절반 정도만 동의한다.

생화학자 양친을 둔 저자와 그렇지 않은 가정에서 자란 이들이나 폭력적 상처를 입은 이들이 같은 '언어학적 경험'을 가질리 없으며, 욕설의 트라우마나 사회적 외부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 나부터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다.

흡연에 여남 차별을 두진 않겠지만, 누구의 담배 연기가 내게 덜 해롭지는 않다. 물론 남자의 빈도가 비교할 수 없게 높지만. 욕설이라고 해서 일상 접근성을 높이고 싶지 않다.

물론 욕설이 사라지긴 어려우니 저자의 긍정적 논의(재전유, 전복 혹은 환유)를 통하기를 희망한다.

#워드슬럿 #wordslut #젠더의언어학 #워드슬럿젠더의언어학#어맨다몬텔 #amandamontell #이민경 #아르테 #arte #에세이 #언어학 #페미니즘 #feminism #여성주의 #21세기북스 #젠더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