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봄에 나는 없었다 - 개정판
애거사 크리스티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22년 6월
평점 :
ㅣ증정도서ㅣ
p234 - 다 잘되자고 그런 거였어! 한 사람이라도 현실적이어야 하잖아! 신경쓸 자식들이 있었잖아. 이기적인 마음으로 그렇게 처신한 것이 아니었다.
ㆍ
명불허전.
ㆍ
변호사 로드니 스쿠다무어와 결혼한 조앤은 세 아이를 키워 독립시킨 뒤 중상류층의 안락한 삶을 살던 중 세 번 결혼하고 자진해서 아이의 양육권도 내던지고 사는 고교 동창 블란치와 우연히 재회하게 된다.
ㆍ
p26 - "조앤, 문제는 네가 죄인이 아니라는 점이야. 그러니까 넌 그 기도와도 연이 없어."
ㆍ
자신에 비하면 부정해 보이기까지 한 블란치는 편안한 생활을 즐기는 조앤의 삶이 과연 아무렇지 않아서(?)인지를 슬며시 지적하고, 이는 조앤의 삶에 작은 파동이 되는데...
ㆍ
p25 - "몇 날 며칠 자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 말고는 할일이 아무것도 없다면 자신에 대해 뭘 알게 될까."
ㆍ
마침 바그다드에 사는 셋째 딸 바버라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폭우로 기차가 지연되며 인도의 숙소에 발이 묶이게 되고, 블란치의 말에서 시작된 삶의 되새김질을 하면서 서스펜스가 시작한다.
ㆍ
농사를 짓고 싶은 남편의 바람을 뭉갠 것, 아들 진로를 반대한 것, 딸의 연애를 후려친 것, 친구들을 비하하고 고용인들을 인간이 아닌 용도로 대한 것 등.
ㆍ
본인이 옳다는 생각에 타인의 감정과 상황을 완전히 배제하고 외면했던 행각이 조앤의 머리속을 휘젓는다.
ㆍ
가족들이 각기 가진 싹이 움트는 '봄'같은 시간에 자신은 완전히 참여하지 못하고, '그래야만 한다'는 자신의 기준으로 횡포를 부린 것이다. 기억해야 할 봄, 그래서 다시 돌아올 '봄'에도 자신의 자리가 없다는 사실.
ㆍ
물론 피상적인 현모양처 역할을 강조하던 빅토리아 시대 여성상의 문제가 명백한 것을 감안해서 읽어야 한다. 동시에 노동하는 여성, 자유로운 여성, 스스로 결정하는 여성들을 곳곳에 배치해서 조앤의 깨달음을 돕는 것도.
ㆍ
그러나 이 소설의 백미는 조앤의 내적 변화를 대하는 가족들 각각의 입장이다. 살인도 어떤 범죄도 없이 벌어지는 서스펜스의 온도가 이렇게 뚝 떨어질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이 온도가 처음 느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다.
ㆍ
#메리웨스트매콧 이라는 필명에도 불구하고 정체(!?)를 의심 받을 만한 감각이다.
ㆍ
#봄에나는없었다 #애거사크리스티 #애거서크리스티 #agathachristie #absentinthespring #공경희 #포레 #문학동네 #심리소설 #영국소설 #책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