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슨 인 케미스트리 2
보니 가머스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168 - "감자 껍질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가 가득합니다. 파괴할 수 없는 독소죠. 굽거나 튀겨도 좀처럼 없어지지 않습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감자에도 독이 들었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는 사방에 위헣시 널려 있다는 것을 다시 깨달을 수 있습니다. 위험에 대처하는 최고의 방안은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존중하는 겁니다."
그녀는 칼을 들고서 덧붙였다.
"위험을 처리해보십시오."

정말 오랜만에 파죽지세로 몰아가는 소설을 읽었다. 얼마만인지 찾아보니 작년 10월에 읽은 #박완서 작가의 #도시의흉년 이후로 처음.

매들린을 홀로 키우는 화학자 엘리자베스 조트가 딸 매드의 학교 짝꿍의 아버지이자 방송국 pd인 월터에게 그 맛과 영양을 인정받은 '화학적 도시락'을 통해 요리 방송의 진행을 맡게 되고, 특유의 직설적이고 도전적이며 진지한 멘트를 통해 시청자들의 열렬한 지지를 얻으며 승승장구한다.

물론 어떻게든 능력있는 여성을 멋대로 휘두르려는 ✌남자✌들의 가스라이팅을 뚫고서.

저자의 자전적 경험을 통해 특별히 조명되는 분야는 학계, 미디어, 종교.

성별에 따른 지적 능력의 차등을 의심 않는 과학계와
남자들이 좋아할 만한 여성상을 포기 않는 미디어,
말을 하면 입만 아프고 손가락만 귀찮은 종교계.

소설의 배경인 '50년대를 반추하지 않아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오만가지 조작된 '정상성'의 망령은 마치 감자를 포대로 까보면 늘상 있는 글리코알칼로이드 꼬다리 같은 것이라 늘 신경을 세우고 처리해야만 하는 피곤한 존재이지만, 어쨌든 감자를 포기할 순 없지 🤷‍♂️

그나저나 엘리자베스는 추방당한 과학자, 미혼모 같은 딱지만 붙었으나, 한국이었다면 어땠을지 생각하게 된다. 🔥오... 하지 말자.🔥

인용면에서처럼 엘리자베스는 주변의 잔가지들은 단호하게 차단하거나 배제시킨다. 우선순위, 가장 중요한 목표와 가능한 자원을 구별해낼 수 있는 논리적 과정을 완성시킨다.

결말에서 엘리자베스에게 찾아오는 선물 세트는 반가우면서도 사알짝... 아주 살짝... '우리 회장님 아버지는 왜 아직도 날 안 찾아오시나'같은 생각을 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이 소설이 첫 장면에서 이미 요리 방송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엘리자베스의 모습을 보여주며 시작해서 마치 추리소설처럼 사건과 사건이 치밀하게 호응하며 읽힐 수 있도록 만드는 작가의 구성 능력과도 맞닿는 지점.

사건과 사건, 사건의 조각들이 각자의 목적지를 향해 균일하게 모여든다. 이 소설이 재빠르게 흥행과 판권 경쟁의 세례를 받게 된 이유가 여기 있을 것이다.

어서 빨리 드라마가 완성 되고 흥행해서 페미니즘의 기본값, 아주 몹시 매우 기본값이 되는 상태에 관하여 논쟁을 하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p85 - "그럼 얘들아, 상을 차려라. 너희 어머니는 이제 자기만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평등해지기 위해 특별해져야 한다면... 여전히 뒷맛이 쓰다.

p.s. ebs의 #건축탐구집 을 보면 아직도 부인의 공간은 부엌, 남편의 공간은 서재다. 대부붇의 에피소드에서 전혀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이 전근대적인 차별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이 잘못한 세계라니 🤦‍♂️ 이 슈밥바비빔밥들아 설거지나 제대로 하렴.

#레슨인케미스트리 #레슨인케미스트리2 #보니가머스 #심연희 #lessonsinchemistry #bonniegarmus #다산책방 #다산북스 #미국소설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