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프 보이스 - 법정의 수화 통역사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8 - 아라이는 이 청년에게 호감을 갖기 시작했다. 다부치가 처음부터 '청각장애인ㆍ비장애인'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농인ㆍ청인'이라는 표현을 썼기 때문이다.

소설의 주인공인 아라이는 #코다 #CODA (Children of Deaf Adults)이다.

경찰 사무공무원으로 일하다 퇴직한 아라이는 전직을 준비하던 차에 수화통역사 일을 맡게 되고, 농아 시설을 운영하는 '노미 가즈히코' 살해 사건에 조금씩 엮이는데...

농인과 수어에 관한 글은 #올리버색스 의 #목소리를보았네 를 통해 그 풍부함을 이해하기 시작했는데, 이 책은 주인공이 농인의 세계의 중심에 있지만 동시에 외따로 있는 CODA(농인 양육자의 청인 2세)라는 점에서 실제적이고 질박한 면을 통해 독자의 편견과 트릭을 끌어낸다.

#마쓰모토세이초 상 최종후보였다는데, 트릭의 전개는 세이초를 떠올리게 할 정도로 고전적이면서 정직하다. 어렵지 않다.

p144 - <제 지인도 어릴 때 거기에 입소했었어요. 다들 말했어요. 그놈 죽어 마땅하다고.>

이 책의 진가는 농인과 청인의 간극을 농인을 중심으로 그렸다는 데 있다. 코다가 느끼는 소외감, 청인인 내가 소설 속에서 단절 당하는 지점(모양으로 묘사하는 수어와 '듣기'의 공백을 직관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등)에서 소위 말하는 '정상 세계'는 얼마나 빈약하고 권력 지향적인지를 어렵지 않게 체감 '당한다'.

여러 사람의 수어 장면에서 올리버 색스는 수어의 역동성과 풍부한 표정에 집중했던데 반해, 이 소설의 주인공 아라이는 '약간의 현기증'을 느낀다. 청인이며 농인 가족이 없다는 저자의 묘사가 여러모로 시리즈 차기작(#용의귀를너에게 #통곡은들리지않는다 )을 기대하게 만든다.

#데프보이스 #마루야마마사키 #최은지 #황금가지 #추리소설 #추리 #미스터리 #일본소설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