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받을 권리 - 팬데믹 시대, 역사학자의 병상일기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강우성 옮김 / 엘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ㅡ증정도서ㅡ.

p72 - 어린 나에게 끄떡없어 보였던 농부들은 이제 다른 직업군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이 자살한다. 농부들을 위한 연방정부의 자살방지 상담전화는 폐지되었다.

의료는 왜 민영화 되지 말아야 하는가.

공적인 의료 지원이 없는 지역에서 왜 마약성 약물 남용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심지어 왜 특정 직업군의 자살률이 높아지는가.

p167 - 내가 병에 걸렸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충분히 오래 머무르는 일은 쉽지 않았다.

맹장염에 걸렸다고 해서 한국의 환자가 목숨을 위협받는 두려움을 느끼거나 지나치게 과한 검사를 받게 되리라 우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예일대 교수인 저자는 맹장염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신속히 대응하지 못한 미국 의료 시스템으로 인해 잠깐이지만 사경을 헤매고, 코로나 초기방역을 소홀히 한 정부 의료 정책의 실패로 기억력이 약해지는 후유증까지 얻는다.

p164 - 의사들과 간호사들이 개인 방호복을 일터에 가져왔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는데, 그 때문에 병원 비축품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는 게 이유였다.

미국 고급(?) 보험의 혜택을 입더라도 기초적인 훈련을 받지 못한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하고, 당위적인 직업 훈련의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의료체계 안에서 코로나를 겪으며 목격한 비정상적인 의료 환경은 충격적이다.

p199 - 건강은 우리 공통의 취약성이고, 함께 자유로워질 수 있는 우리 공동의 기회이다.

저자는 코로나가 개인을 넘어 천민자본주의를 극단적으로 쫓은 의료와 공공의 가치가 훼손된 (트럼프)행정부의 민낯을 드러내게 만들었으며, 이제는 의료의 공공성을 다시 손볼 것을 주장한다.

'건강'을 핵심이 아닌 '취약성'으로 정의한 데를 곱씹게 된다. 적절한 의료를 보장받지 못한 곳에서 '건강'의 비용은 그 자체로 사회의 위협이 됐다.

p.s. 여러차례 한국의 코로나 대응을 자국(미국)과 비교하는 데서 시대의 변화를 실감하게 되지만, 동시에 별로 잘 살지 못하는 아시아 국가들보다 평균수명이 당연히 높아야 되는 자본 계층사회 '미국'에 대한 자존심엔 살짝 흠칫하게 된다.

#치료받을권리 #티머시스나이더 #ourmalady #timothysnyder #엘리 #미국 #의료보험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