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1만 년 나이테에 켜켜이 새겨진 나무의 기쁨과 슬픔
발레리 트루에 지음, 조은영 옮김 / 부키 / 2021년 5월
평점 :
p189 - 조 매코널은 《로스앤젤레스타임스》와 다음과 같이 인터뷰했다. "이 연구 이전에 나이테 기록과 빙하 코어 기록은 서로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연대 측정을 거치며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 이제 우리는 나무를 보고 말할 수 있다. '화산 폭발 때문에 냉각이 일어났다'라고."
ㆍ
나무의 나이테를 연구하는 연륜연대학자의 이야기는 마치 하나의 작은 중심에서 시작해 동심원을 쌓아가는 나이테처럼 퍼져나간다.
ㆍ
목재 악기나 예술품의 연대를 밝혀내는 데서 시작하는 나이테의 이야기는 온도와 강수량과 같은 기후변화의 양상, 가뭄이 야기하는 정치적 격변, 제트 기류와 태풍의 영향, 지진의 발생, 방사능과 태양 흑점의 변동, 기후변화가 산불의 주기에 끼치는 영향 등 지구 역사의 추이가 인간 문명에 간섭하는 정도와 영향을 나이테를 통해서 밝혀낸다.
ㆍ
살아있는 나무는 샘플을 채취해서, 죽은 나무와 숯은 유물이나 발굴 현장을 통해 나이테의 간격과 형태를 데이터화 하고 축적해서 지역과 시대를 연결한다.
ㆍ
저자가 벨기에에서 태어나 공부할 당시엔 잘 알려지지도 않았고 이리저리 발품을 팔아 뛰어다녀야만 했던, 여성에겐 배타적인 과학계에서도 희소한 전공이었다는 것을 한 단계 한 단계 나이테 연구의 범주를 넓히며 경험으로 풀어내는 이야기는 귀기울이게 만든다.
ㆍ
친절하고 정갈하게 설명하면서도 범주를 확장해나감으로 해서 인간사의 곁에서 안팎으로 불가분의 동반자로서 자연을 이루는 나무, 숲, 생태계의 심대한 규모와 역할을 일깨워 준다.
ㆍ
저자는 나무 나이테, 연륜연대학의 한계를 숨기지 않는다.
ㆍ
그리하여 지질학, 인류학, 역사학, 화학, 기상학 등 여러 학문과의 교류와 각국 연구자들과의 네트워크를 계속 강조하는 것은 자연을 추적하는 이 이야기가 비단 인간만의 일이 아닌 우리를 둘러싼 자연과의 소통이라는 거대한 화두이며, 우리가 누구누구라는 것과 상관없이 나무와 나이테를 알고 있다면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지적하는 듯했다.
ㆍ
p295 - 이때부터 핵폭탄 실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나이테나 호수 퇴적물과 같은 생물학적이고 지질학적인 기록 보관소에 영구적이며 추적 가능한 방사성 표시를 남겼기 때문이다.
ㆍ
이 기이한 변화의 죄는 인간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