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부터는 인생관을 바꿔야 산다 - 이제 자존심, 꿈, 사람은 버리고 오직 나를 위해서만! 50의 서재 1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혜숙 옮김 / 센시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100세 시대라고 말한다. 방송에서도, 신문에서도, 심지어 미래학자들도 100세시대이고 인생은 50부터 시작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막상 50이 다가오면서 두려움이 엄습해 오는 것은 누구도 말해주지 않는 듯 하다.


책의 소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이제 자존심 꿈, 사람은 버리고 오직 나를 위해서만!"

지금까지 가족을 위해 살아왔다. 아니, 생존을 위해 살아왔다.

노력하면 더 나은 미래가 열릴거라 믿으며 쉴새없이 달려왔다. 어느순간 돌아보니 내 나이 50이 눈앞에 떡하니 다가와 있다.


사람을 만나는 것도, 친구들을 만나는 것도 쉽지 않다. 무언가 모를 두려움이 있다. 간간히 들려오는 친구들의 소식은 마음을 더 무겁게 만든다.


이 책은 이런 우리의 50대를 살아가는 나같은 사람들을 위로해 주고 있다.  갑자기 찾아온 주변의 변화가운데 우두커니 서 있는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살고 있는 우리를 위한 책이 나와주어서 너무 고맙기도 하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는 수많은 실패에서 쌓여진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2장에서는 '탈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모습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50대의 위기에 대해 다루고, 4장에서는 위기극복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별과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책속의 이미지들이 참 재미있어서 읽는 내내 미소를 짓게 한다. 아저씨들을 잘 표현한 듯하다. 유쾌하면서도 동질감을 느껴지게 하는 모델이랄까?


전체적인 분위기는 일본작가의 글이라 일본이야기와 공자, 불교적 세계관을 담고 있기도 하다. 그나마 번역자가 한국의 상황을 중간중간 주석으로 처리해주어서 읽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동안 사회에서, 가정에서 인정받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저자는 50대는 이제 더이상 인정받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에 큰 위로가 된다. 그러고 보니, 어느 순간부터인가 나도 그렇게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긴하다.


"그런데 50세가 되어서도 젊은 사람들처럼 '좋앙'에 집착한다면 솔직히 꼴불견이다. "그렇게 자기 존재를 인정받아야만 한다면 스스로 자기 가치를 인정하라"라고 말해주고 싶다."(p.36)


이제 우리는 경쟁을 내려놓고 살아가다보니 저자의 말처럼 확실히 마음은 좀더 편해진것 같다. 아니, 더이상 경쟁할 힘이 없다고나 할까? ㅋㅋ


"자존심을 내려놓으면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p.82)는 말에는 정말 공감했다.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이제 수용해야 할 때가 되었나 보다. 그동안 자존심때문에 하지 못했던 일들을 다시 한번 시작해 보고 싶어지는 용기아닌 용기를 얻었다.


이 책의 강점을 꼽으라면 '죽음'의 문제와 '상실'의 문제를 다루어 주고 있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세상은 100세시대를 말하지만 사실 우리의 주변에는 수많은 병들과 싸우고 있는 우리네들이 있다. 그들을 보며 마음아파하고 슬퍼하고 있는 내 모습을 본다. 이것을 저자는 '집착'이라고 하며 그것을 버릴것을 이야기한다.

"사후의 세계에 가지고 가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는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자신에게 제일 중요한 것을 고르고, 다른 것은 버려도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일종의 깨달음의 경지에 가까워진것이다'(p.202) 라고 한다.

 

이제 인생의 후반부를 살아가며 세상에 대한 힘을 빼고, 내가 좋아하는것, 하고 싶었던것에 열정을 쏟아보고 싶다.






"그런데 50세가 되어서도 젊은 사람들처럼 ‘좋앙‘에 집착한다면 솔직히 꼴불견이다. "그렇게 자기 존재를 인정받아야만 한다면 스스로 자기 가치를 인정하라"라고 말해주고 싶다."(p.36)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관계를 배우다 - 내 인생에서 만난 사람들 더 사랑하기
수잔 스테빌 지음, 강소희 옮김 / 두란노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니어그램은 이 세상을 경험하는 아홉가지 각기 다른 방식과 삶에 관한 기본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아홉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p.12)


우리는 살아가면서 참 많은 사람을 만난다. 때로는 참 좋은사람을 만나기도 하지만 때로는 나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참 마음이 맞지 않는 다고 생각되는 사람들과도 만남과 관계를 이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다.

'왜 저사람은 저럴까' 하고 생각해보지만 이해하기 보다는 불평과 비난으로 끝나게 된다. 

그러고 보니 '누군가를 이해하려고 노력해본 적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든다. 내 중심에서, 내 생각에 그 사람을 놓고 난도질하며 불평을 쏟아 놓았다.


그러다가 애니어그램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다른사람들의 입장,  '타인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는 연습을 하게 된다.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면 '관계'에도 배움이 필요하지 않을까?


'관계를 배우다'는 수잔 스테빌이 지난 25년간 500번이 넘는 에니어그램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알게 된 다양한 사례중심으로 쓰여진 책이다.




'관계' 가족, 친구, 이웃, 직장...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주변의 수많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게 되었다. 왜 그 분이 이렇게 행동할 수 밖에 없었는지, 왜 우리의 다툼이 끊이지 않는지를 사례를 보며 이해하게 되었다.

 

그렇다. 우리는 모두 같지 않다. 애니어그램에서 말하는 9가지로는 설명할 수 없는 그 무엇인가가 모두에게는 존재한다. 하지만 그러한 행동, 말을 하는 이유를 저자는 에니어그램이라는 렌즈를 통해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나하나 유형을 탐색해 가는동안 주변의 수많은 인물들이 떠오른다. 이 책의 저자가 에니어그램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기에 더욱 손을 뗄수 없게 만든다.  

한마디 한마디가 그냥 흘려듣거나 지나칠 수 없게 만든다. 결국 나는 오늘도 수많은 글들을 스크랩한다.
 


애니어그램은 장형, 가슴형, 머리형으로 나눈다. 그중 장형은 8번, 9번, 1번유형, 가슴형은 2번, 3번, 4번, 머리형은 5번, 6번, 7번이다. 세가지 파트중에서도 당연 내 시선을 끌게 만드는 곳은 내가 속한 머리형이다. "두려움을 머리로 이기려는 이 사람, 어떻게 소통해야 할까?"라는 소주제에 '스케줄대로 움직여야 하는 엄마와 자유롭고 싶은 아들'을 소개하고 있다. 스케쥴대로 움직이는 엄마가 5유형인가보다.

"5번에게 어떤 느낌이 드느냐고 물으면 그들은 느낌이 아닌 자기 생각을 말할 것이다"

딱 맞는 말이다. ㅋㅋ

아내의 말이나 친구들의 말에 공감하고 싶은데, 참 공감이 되지 않는다. 너무 냉철하다고 한다. ^^;


 

나에게 도전을 주는 문장이 있었다.

"내성적이지만 다른 누구보다 독립적이고 싶은 당신, 정보와 지식을 쌓아 당신의 두려움을 없애는 대신, 다른 사람의 어깨를 빌려보라." (p.229)


누군가에게 의지하기보다는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는 나에게 충격적인 말이다. 누군가에게 기대라고?


 그래도 단점만 있는것은 아니네?ㅎㅎ

"진정한 중립' ㅎㅎ 내가 할 수 있는것과 할 수 없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받아들여야 할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우리가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것이 중요한데 우리는 그것을 간과 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보게 된다. 오늘도 아이들을 위해, 아내를 위해 내가 할수 있는 일들과 받아들여야 할것을 점검해 보고 하루를 마무리 해야겠다.


 


2019.1.19. 관계를 배우다(수잔 스테빌)/두란노.

 

 



"에니어그램은 이 세상을 경험하는 아홉가지 각기 다른 방식과 삶에 관한 기본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아홉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6분 다이어리 (핵심판) : 작지만 확실한 행복 - 작지만 확실한 행복
도미닉 스펜스트 지음, 김윤재 옮김 / 행성B(행성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분이라.. 5분이 일반적인데, 왜 하필이면 6분이라고 했을까요? 궁금해지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신저 - 마음을 움직이는 메시지의 창조자들
이남훈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탁월한 메신저는 약점 앞에서 물러서지 않낳는다. 그것을 감추거나 숨기지 않고 좌표를 이동시킴으로써 더욱 극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약점은 장점과 마찬가지로 격발해야 할 하나의 표적일 뿐이다." (p.65)

나는 말을 잘 못한다. 말잘하는 사람들을 보면 정말 부럽다. 특히 감동적인 말로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도 하고, 울리기도 웃기기도 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행복해지기까지 한다.
개그맨들의 입담도 부럽고, 아나운서들의 똑부러지는 말들도 부럽다. 그렇지만 말뿐인 정치인들의 이야기는 듣고 싶지 않을때가 많다. 같은 말이지만 참 다르다. 
마음을 움직이는 대화법, 즉, 말하는 법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그러다가 만나게 된 '메신저' 딱 이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목만으로도 너무 너무 끌리는 책. 
 이 책의 저자 이남훈은 한국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언론사에서 전문객원기자로 활동하며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그들의 리더십, 자기계발, 성공원칙, 의사소통기술에 대해 심층취재를 했었다. 특히 '고객이 생각하지 못한 가치를 제안하라' 나 'CEO 스티브 잡스가 인문학자 스티브 잡스를 말하다'같은 책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도전을 주었다. 
이번에 출시된 '메신저'는 메시지의 힘에 대해 다룬다. 어떤 사람의 생각과 결심은 놀랄만한 결과를 만들어 내지만, 어떤 사람은 초라한 결과만을 가져오게 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저자는 그 능력을 '메시지'에서 찾고 독자들이 그런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것이 이 책의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런 탁월한 메신저가 사용했던 방법을 '격발(트리거) - 연상(리마인드)- 확산(디퓨전)이라고 칭하며 각 주제에 따라 책을 써가고 있다.


이상의 주제를 중심으로 총 3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이땅에 존재했던 탁월한 리더들을 만날 수 있게 해 준다. 
1부에서는 격발의 마술사와 같은 사람들과 그들의 메시지를 소개해준다.
저자는 '브레이킹-앵커'를 효과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약한고리'를 찾아내야 한다고한다.  전제를 바꿈으로써 상황자체를 움직이고 변화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관심있게 읽었던 부분은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은 다르다"라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반드시 선택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니즈와 원츠는 9:1의 법칙을 이루고 있다는 것.수면아래에 있는 90을 찾아내야만 진짜를 만날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나 역시 반드시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지는 않은것 같다. 선택에는 여러가지 환경적인 요인까지 물려있기 때문일 것이다. 생활가운데 잘 적용해 보고 싶다.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10퍼센트, 필요로 하는 것은 나머지 90퍼센트 입니다. "(p.44)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구조물이다. 프레임은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 우리가 짜는 계획,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 그리고 우리 행동의 좋고 나쁜 결과를 결정한다. "(p.111)

2부에서는 리마인드의 달인들을 소개한다. 몇년전이던가? '넛지'라는 책이 베스트 셀러에 있었는데,이 책에서 '넛지'라는 단어를 만나게 되어 너무 반가웠다. 
맛있게 먹는 '프링글스'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깜짝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먹을때마다 생각했던 '테니스공'과의 관계와 스포트라이트의 효과등 실생활과 가까운, 우리주변의 일들에서 만나게되는ㅐ 사소한 것들이 이런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있다는 것이 신기하기까지 하다.


"'마스킹효과'라는 것이 있다. 자신이 주로 듣고 싶은 목적음이 주변의 잡음때문에 가려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아무리 아름다운 선율도 잡음이 섞이기 시작하면 그저 잡음으로 전락할 뿐이다.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많은 것은 소용이 없다."(p.148)

3부에서는 디퓨전의 혁신가들을 소개한다. 지금은 고인이 되었지만 아직도 스티븐 잡스의 이야기는 모두에게 새로운 영감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토이스토리를 참 재미있게 봤던 기억도 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주인공은 나중에 나온다고 했던가?
저자는 "메신저의 진짜 힘은 대중에게서 나온다"고 말한다. 메시지는 과학이 아니라 설득이기에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메시지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소통의 중요성이 다시금 생각나는 문장이다. 

"메신저가 철저하게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점은 곧 메시지의 광버위한 확산은 대중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p.238)
"확산의 완성은 메시지의 발신되는 지점이 아니라 수신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다"(p.285)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조심스러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하다고 꿈조차 가난할 수는 없다
김현근 지음 / 사회평론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이 공부에 전부는 아니라는 것을 꺠닫게 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