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모토 세이초의 『구형의 황야』란 작품을 읽어 보셨는지요? 1964년 도쿄 올림픽이 열릴 즈음, 한 사내가 도쿄의 한 으숙한 숲에서 질식사한 시체로 발견돼요. 유일한 단서는 인근 연못에서 발견된 방명록. 경찰은 죽은 이와 살인자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방명록의 서명자들을 추적해요. 추적 중에 사망자의 신원을 알게 되고, 더불어 새로운 단서 하나를 얻게 돼요. 방명록의 서명 중에 이미 사망한 어떤 이의 필체와 유사한 서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거예요(물론 서명에 쓰인 이름은 죽은 이와 전혀 다른 이름이죠). 이 사실은 방명록 서명자 중의 한 명인 어떤 여인을 조사하던 중 그녀와 함께 있던 여조카에게서 알게 된 거예요. 이 여조카는 방명록의 필체가 자신의 아버지가 예전에 사용하던 필체와 똑같다며 자신의 집에 걸려있는 아버지의 액자를 보여줘요. 그런데 이 여조카의 아버지는 이미 20년 전에 사망했어요. 그렇다면 그 동일한 필체의 서명은 누가 한 것이며, 그 방명록과 피살자와는 무슨 관련이 있는 것인지…. 마쓰모토 세이치의 여타 추리소설과 마찬가지로 이 소설도 마쓰모토 세이초의 강렬한 사회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이에요. 한 살인 사건을 통해 전쟁과 평화 그리고 애국의 문제를 다루고 있거든요.

 

사진은 『구형의 황야』를 드라마화한 일드의 한 장면이에요. 바로 한 여인의 여조카가 경찰에게 소개한 자신의 아버지 작품이죠. 작품을 소개하며 아버지는 미불(米芾, 1051-1107, 북송의 서예가)의 작품을 즐겨 임서했다고 말해요. 이로 미뤄보면 이 작품은 미불의 작품을 임서한 것 같아요. 읽어 볼까요? 쾌제일천청연기 건범천리벽유풍(快霽一天淸淵氣 健帆千里碧楡風). '상쾌하게 개인 하늘 맑은 연못 기품이요, 먼 길 가는 돛단 배 바람 맞은 푸른 느릅나무로다'라고 풀이해요. 싱그러운 하늘과 상쾌한 바람에 떠가는 배를 그렸어요. 마치 우리 가요 '아, 대한민국'의 첫 소절을 연상케 하는 내용이에요. 하늘엔 조각 구름 떠있고 / 강물엔 유람선이 떠 있고….

 

그런데 이 액자의 내용은, 작품에서, 필체를 확인하기 위한 단순 소품이 아니라 주제를 담은 복선 기능을 수행해요. 『구형의 황야』 주인공은 2차 대전중 스웨덴에 파견되었던 외교관으로 그는 종전(終戰)을 통해 일본의 평화를 지키려고 노력해요. 하여 그는 자신의 정체를 감추고 - 죽은 것으로 가장 - 연합군에 투신해요. 이 액자의 내용은 바로 주인공의 평화주의자로서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기에 복선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어요. 평화로운 풍경을 쓴 액자는 곧 주인공의 평화지향 정신을 상징하는 것 이니까요.『구형의 황야』는 평화주의자인 주인공과 그의 행위를 백안시하는 군국주의자들과의 갈등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통해 전쟁의 종언을 통한 평화야말로 진정한 애국이고 이를 위해 남모르게 희생한 이들을 청안시(靑眼視)할 것을 호소한 작품이에요.

 

 

낯선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忄(마음 심)과 夬(터놓을 쾌)의 합자예요. 마음이 흔쾌하다는 뜻이에요.  忄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夬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마음이 흔쾌하면 파안대소가 나온다는 의미로요. 쾌할 쾌. 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爽快(상쾌), 愉快(유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雨(비 우)과 齊(가지런할 제)의 합자예요. 비가 그쳤다란 뜻이에요. 雨로 뜻을 표현했어요. 齊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齊는 본래 이삭이 패어 키가 고르게 된 모양을 그린 것인데, 그렇게 되면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멈추지요. 바로 이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멈췄다란 의미로 본뜻을 보충해주고 있는 거예요. 개일 제. 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霽月光風(제월광풍, 도량이 넓고 시원함), 霽朝(제조, 비가 갠 아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양 언덕 안에 갇혀 맴도는 물을 그린 거예요. 연못 연. 본래 氵(물 수) 없이 표기했는데, 후에 氵가 추가 됐어요. 못 연. 淵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深淵(심연), 淵曠(연광, 깊고 넓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 인)과 建(세울 건)의 합자예요, 굳센다란 뜻이에요. 人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建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꿋꿋하게 서있어야 굳세게 보인다는 의미로요. 굳셀 건. 健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健實(건실), 健康(건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巾(수건 건)과 凡(汎의 약자, 뜰 범)의 합자예요. 돛이란 뜻이에요. 巾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凡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돛이 바람을 맞아 배가 떠간다는 의미로요. 돛 범. 帆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帆船(범선), 帆檣(범장, 돛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王(玉의 변형, 구슬 옥)과 石(돌 석)과 白(흰 백)의 합자예요. 옥과 흡사하며 푸른 빛[白, 순백색은 약간 푸른 빛을 띄죠]이 도는 돌이란 뜻이에요. 白은 음을 담당해요(백→벽). 푸를 벽. 碧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碧溪水(벽계수), 碧眼(벽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 목)과 兪(마상이 유)의 합자예요. 느릅나무란 뜻이에요. 木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兪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兪는 통나무로 만든 배란 뜻인데, 이렇게 배로 만들 정도라면 통나무가 커야겠죠? 그같이 덩치 큰 나무가 바로 느릅나무란 의미로 본뜻을 보충해주고 있어요. 느릅나무 유. 楡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楡莢雨(유협우, 늦봄에 오는 비), 楡塞(유새, 변방의 요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여담. 미불은 왕희지에 가장 근접한 서예가로 평가 받아요. 그의 서체는 힘이 있으면서도 유려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위에 임서한 작품은, 감식안이 부족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기풍이 느껴지질 않아요. 그래도 일본은 평소에 한자를 쓰기에 한자(문) 관련 소품을 설치할 때 글씨의 격이 심하게 떨어지진 않는 것 같아요. 이 작품도 그렇구요. 반면에 생활 주변에서 점차 한자가 사라져가는 우리나라에선 영화나 드라마 소품에 한자(문) 관련 소품이 등장할 때 민망할 정도로 글씨의 격이 떨어져요. 최근 '대장 김창수'를 보았어요. 감옥소장과 김창수가 체결한 문서 내용이 나오는데, 그 조잡한 글씨라니…. 그 체결 문서는 김창수의 활약상을 보여주는 나름대로 중요한 소품인데 글씨를 그렇게 써 놓으니 옥의 티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생각컨대, 서예가에게 부탁하면 비용이 추가될까 봐 스텝 중 한 사람에게 부탁한 것이 아닐까 싶어요. 영화 제작시 작품의 완성도를 위해 한자(문) 관련 소품은 꼭 서예가의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