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http://tip.daum.net/question/82923916>
"글은 기운을 중심으로 삼는다. 기운의 맑고 탁함엔 바탕이 있나니, 이는 인위적 노력으로 어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文以氣爲主 氣之淸濁有體 不可力强而致)."
중국 고전 문학 비평의 효시로 알려진 조비(曺丕, 187-226)의 『전론(典論)』「논문(論文)」 일부예요. 흔히 문기론(文氣論)으로 알려진 내용이죠. 문기론은 쉽게 말하면 사람의 타고난 기질이 글에 드러난다는 이론이에요. 이는 순수한 문학론이라기 보다는 문학과 의학이 결합된 이론이라고 볼 수 있어요. 기질은, 신체 상태에 관한 것으로, 의학 분야에 속하기 때문이죠.
기질은 다양하죠. 조비는 청탁으로 대분(大分)했지만, 조선의 이제마는 사상(四象)으로 대분했죠. 이제마의 분류는 기질 보다는 체질로 불리는데(사상 체질), 체질과 기질은 같은 의미예요. 둘 다 몸 상태와 관련있으니까요. 문학 작품을 기질(체질)과 관련지어 살펴보는 것은 작품을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싶어요.
위 사진은 소동파(1037-1101)의 '동란이화(東欄梨花)'란 시예요. 봄 날 난간에서 화사한 배꽃을 보고 쓴 시지요. 이 시를 이제마의 사상체질과 관련지으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사상체질은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이에요. 태양인은 강하고 적극적이며 타인과의 교류에 능하고 다혈질이죠. 태음인은 매사에 신중하고 위엄이 있으며 인내심이 강하고 속내를 쉽게 드러내지 않죠. 소양인은 열정적이고 다정하며 이해타산에 관심이 없고 솔직담백하죠. 소음인은 내성적이고 말수가 적으며 생각이 치밀하고 침착하죠.
梨花澹白柳深靑 이화담백유심청 배꽃은 희고 버들은 푸르니
柳絮飛時花滿城 유서비시화만성 버들개지 휘날릴 때 배꽃은 만발하네.
惆悵東欄一株雪 추창동란일주설 슬프구나! 동란에 핀 한 그루 흰 배꽃이여!
人生看得幾淸明 인생간득기청명 인생에서 몇 번이나 이 깨끗한 꽃을 볼 것인가?
<번역 인용: http://m.blog.daum.net/thddudgh7/16543453>
시인은 지금 화사한(깨끗한) 배꽃을 보고 있어요. 그런데 이 화사한 배꽃을 보면서 즐겁고 행복해 하기보다는 외려 슬픔에 차있어요. 인생에서 화사한 배꽃을 볼 기회가 많지 않다는 것을 생각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정말 인생에서 화사한 배꽃을 볼 기회가 많지 않을까요? 그렇진 않을 거예요.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볼 수 있겠지요. 그렇다면 여기 화사한 배꽃을 볼 기회가 많지 않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요? 그건 아마도 인생에서 화사한 배꽃처럼 삶의 환희를 맛보는 때가 많지 않다는 것을 에둘러 표현한 걸 거예요. 그러기에 화사한 배꽃을 보면서 슬픔을 느낀 것이지요.
짐작컨대 시인은 소음인에 가까운 사람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소음인은 걱정과 생각이 많죠. 걱정과 생각이 많다보니 화사한 배꽃을 보면서도 거기에 몰입하지 못한 채 굳이 삶을 연계시키고 나아가 긍정적인 면 보다는 부정적인 면을 더 부각시키고 있어요. 밝게 쓸 수 있는 시를 어둡게 썼다고나 할까요? 만약 태양인이 화사한 배꽃을 봤다면 이와 정반대의 시를 썼을 거예요. 배꽃 자체에 몰입하거나, 인생을 연계시킨다고 해도 긍정적인 면을 더 부각시켰을 거예요.
기질과 문학 작품을 연계시키는 건 문학작품을 풍부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지, 결코 작품의 우열을 평가하기 위한 것은 아녜요. 위 작품도 소음인의 기질이 농후한 작품이란 것 뿐이지 결코 작품 수준이 낮다는 것은 아니지요. 문학 작품과 지은이의 기질을 묶어서 논하는 건 오래된 비평법이지만 현재도 충분히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무엇보다 문학과 의학이 결합됐다는 점에서 통섭을 지향하는 시대와 잘 어울리지 않나 싶어요.
낯선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幾는 幺幺(작을 요)와 戌(지킬 수)의 합자예요. 은미하고 위태로운 곳을 지킨다는 의미예요. '몇'이란 뜻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은미하고 위태로운 곳은 많지 않다란 의미로요. 몇 기. 幾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幾何(기하), 幾日(기일, 며칠 몇 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惆는 忄(마음 심)과 周(두루 주)의 합자예요. 만족스럽지 못한 마음이란 의미예요. 忄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周는 음을 담당하면서(주 →추)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두루 만족하려면 일일이 살피게 되고 그러다 보면 자신의 뜻과 불합(不合)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의미로요. 실심할 추. 惆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惆然(추연, 실망하여 슬퍼하는 모양), 惆惋(추완, 슬프게 한탄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悵은 忄(마음 심)과 長(긴 장)의 합자예요. 원망하며 슬퍼한다는 의미예요. 忄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長은 음을 담당하면서(장→창)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오래가는 감정이 원망하고 슬퍼하는 감정이란 의미로요. 한탄할 창. 悵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悵悔(창회, 원망하고 후회함), 悵望(창망, 슬퍼하면서 바라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澹은 氵(물 수)와 詹(넉넉할 담)의 합자예요. 물이 요동친다는 의미예요. 氵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詹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수량이 넉넉할 때 물이 요동친다는 의미로요. '맑다'란 뜻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요동치던 물이 고요해졌다는 의미로요. 맑을 담. 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澹澹(담담,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모양), 澹泊(담박, 욕심이 없고 마음이 꺠끗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絮는 糸(실 사)와 如(같을 여)의 합자예요. 헌 솜이란 의미예요. 이 솜은 목화의 솜이 아니고 못쓰게 된 실로 뭉친 솜이란 의미예요. 糸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如는 음을 담당하면서(여→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못쓰게 된 실로 뭉친 솜은 진짜 솜은 아니지만 그와 비슷하다는 의미로요. 솜 서. 絮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絮纊(서광, 솜), 絮繒(서증, 솜과 명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여담. 위 사진은 시와 그림이 전혀 어울리지 않아요. 시의 소재는 이화(梨花)인데 그림은 난초와 나비를 그렸기 때문이죠. 사진은 인터넷에서 우연히 찾았어요. 여담 둘. 탈초는 '처음새'란 블로거의 도움을 받았어요. 그림 출처에 가면 이 블로거의 탈초와 시 번역처 안내가 나와요. '처음새'란 블로거는 한문 내공이 상당한 분 같아요. 지식IN 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시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