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 시는 그렇게 짓는 게 아니다.

 

첫눈이 내리던 날, 왠지 가슴이 뭉클하여 아버지께 시(한시) 한 수를 지어 보냈어요. 당시 아버지는 외지에서 홀로 기숙하고 계셨어요. 80이 가까운 노구셨는데 사람은 늙도록 활동해야 한다란 지론 때문에 월급쟁이 한의사 생활을 하고 계셨어요. 평소 자식들과 별로 말을 나누지 않는 무뚝뚝한 분이셨기에 편지를 보내기가 좀 멋쩍었지만 그래도 용기를 내었어요. 첫눈이 용기를 준 것 같아요.

 

그런데, 주말에 집에 오셔서 제게 해주신 아버지의 답(장)은 형식을 지키지 않은 시에 대한 타박뿐이었어요(미숙한 솜씨로나마 시를 지어 보냈으니 그래도 칭찬 한 마디 쯤은 해주실 줄 알았는데...).

 

사진은 다산 정약용(1762-1836)의 편지로 추정되는 글이에요. 추정되는 이유는 감정이 내려지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비록 '다산(茶山)'이란 낙관이 있지만 확증하긴 쉽지 않은가봐요(이 때문에 이 편지에 대한 저의 언급은 오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고문서 번역 서비스를 해주는데, 문의가 들어오는 문서 중에 생각지 않은(?) 유명인의 작품도 꽤 있나 봐요. 이 작품도 그 중의 하나라는군요(관련기사 및 사진 출처: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510024008&wlog_tag3=naver)

 

 

見汝書又得汝師手筆 具知春來無恙 欣慰難量 吾病一樣亦不具(견여서우득여사수필 구지춘래무양 흔위난량 오병일양역불구)

 

너의 편지를 보고 또 네 스승의 글을 받아 보니/ 이 봄날에 모두 별고 없다는 것을 알겠다/ 기쁘고 위로하는 마음 헤아리기 어렵다/ 내 병은 늘 그렇다. 역시 갖추지 못한다. (번역: 위 관련 기사 및 사진 출처에서 인용)

 

 

다산은 자식들에게 많은 편지를 보냈죠. 자신의 처지가 귀양 가있는 처지이기에 자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 편지였으니 많은 편지를 쓸 수 밖에 없었을 거예요. 이런 편지를 박석무 선생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란 제목으로 책을 펴내기도 했죠. 오래 전에 읽어 그 내용이 잘 기억나진 않지만, 자식들에게 공부를 게을리하지 말라는 내용과 독서하는 방법 및 글쓰는 방법 등을 안내하는 내용이 있었던 것 같아요. 위 사진과 관련된 인용 출처의 기사에도 나오지만, 다산은 자신의 집안이 폐족이란 전제하에 자식들에게 각별한 당부를 했어요. 폐족의 처지에서 공부를 안하고 몸가짐을 바로하지 않으면 집안을 일으킬 기회를 완전히 상실할거란 위기감이 있었던 거죠. 사진의 편지는 안부를 확인하는 단순한 내용이에요. 하지만 은연중 자신의 위기감을 불식시켜준 자식에게 고마워하며 안도의 숨을 내쉬는 다산의 마음을 엿볼수 있어요.

 

문득 아버지께 보냈던 어설픈 시에 아버지께서 답장을 보내셨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봐요. 아버지께서 돌아가신지 근 30년이 되는데 제게 남아있는 아버지의 편지는 단 한 장도 없어요. 이런, 그러고 보니 저도 애들에게 편지를 쓴 기억이 거의 없네요. 아버지를 탓하는 자신이 정작 아버지와 같다니... 이것 참, 부전자전은 이런 때를 위해서 만들어 낸 말인지...

 

 

사진의 한자를 몇 자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氵(물 수)와 女(여자 녀)의 합자예요. 물 이름이에요. 지금의 하남성 노씨현에서 발원하여 회수로 들어가는 물이에요.  氵로 뜻을 표현했어요. 女는 음을 담당해요. 물이름 녀. 지금은 물 이름보다 '너'라는 2인칭 대명사로 주로 사용해요. 이는 동음을 빌미로 뜻을 차용해 쓴 거예요. 너 여. 汝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汝等(여등, 너희들), 吾與汝(오여여, 나와 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心(마음 심)과 羊(痒의 약자, 병 양)의 합자예요. 근심이 있다란 뜻이에요. 心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羊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병이 있으면 근심스럽다란 의미로요. 근심 양. 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無恙(무양, 근심이 없음), 病(양병, 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欠(하품 흠)과 斤(도끼 근)의 합자예요. 웃으며 좋아한다란 의미예요. 웃으며 좋아하면 입을 벌리고 소리를 내기에 欠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斤은 음을 담당하면서(근→흔)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도끼질을 할 때는 계속 소리를 내는데 웃으며 좋아할 때도 그같이 계속 소리를 낸다는 의미로요. 기뻐할 흔. 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欣欣(흔흔, 기뻐하는 모습), 欣快(흔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心(마음 심)과 尉(熨의 약자, 다리미 위)의 합자예요. 마음이 편안하다란 뜻이예요. 心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尉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다림질로 옷주름을 펴듯 마음의 주름을 펴 마음이 편안하다란 뜻으로요. 위안할 위. 타동사의 의미로 '위로하다'란 뜻으로도 사용해요. 위로할 위. 慰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慰安(위안), 慰問(위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隹(새 추)와 暵(말릴 한)의 약자가 합쳐진 거예요. 전설의 새인 '난새(일명 금시조)'란 뜻이에요. 隹로 뜻을 표현했어요. 暵의 약자는 음을 담당해요(한→난). 난새 난. 지금은 난새보다 '어렵다'란 뜻으로 더 많이 사용해요. 전설상의 새이다 보니 보기가 쉽지 않아, '어렵다'란 뜻으로 사용하게 됐어요. 어려울 난. 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困難(곤란), 難易度(난이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重(무거울 중)의 약자와 曏(접때 향)의 약자가 합쳐진 거예요. 경중을 헤아린다는 의미예요. 重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曏의 약자[日]는 음만 당당해요(향→량). 헤아릴 량. 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測量(측량), 數量(수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木(나무 목)과 羕(강이 길 양)의 합자예요. 상수리 열매란 뜻이에요. 木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羕은 음을 담당해요(양→상). 상수리나무 상. 지금은 '모양'이란 뜻으로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상수리 열매의 모양이란 뜻으로요. 이 때는 음도 달리해 사용해요. 모양 양. 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模樣(모양), 樣態(양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汝 너 여   恙 근심 양   欣 기뻐할 흔   慰 위안(위로)할 위   難 어려울 난   量 헤아릴 량   樣 모양 양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測(   )   困(   )   (   )等   (   )問   (   )快   模(   )   (   )

 

3. 아버지에게서 받은 기억나는 편지가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