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까레이 후라!"
1909년 10월 26 하얼빈 역. 기차역에서 내린 이토오 히로부미를 향해 세 발을 쏜 안중근. 한 발도 실수없이 저격하여 이토오를 즉사케 했고, 남은 총알로 여타 일본의 중요 인사들을 저격하여 중상을 입혔어요. 그리고는 바로 품에서 태극기를 꺼내 큰 소리로 외쳤어요. "까레이 후라(대한 독립 만세)!" 당시 기차역에 모인 이들이 러시아인이었기에 그들이 알아 듣도록 러시아어로 외쳤죠.
안중근은, 잘 알려진 것처럼, 재판을 받을 때 자신을 전쟁 포로로 대우해 줄 것을 요구했어요. 일개 암살범이 아닌 대한의군 참모중장으로서 말이죠. 그리고 시종일관 이토오 히로부미 저격에 대한 정당성을 정연하고 당당하게 말했죠. 러일 전쟁 당시 일본에 대한 원한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이 일본에 협력한 것은 그들이 내세운 '동양평화를 유지하고 대한 독립을 공고히 한다'라는 명분 때문이었는데, 러일전쟁 승리 후 한국을 병합하고 중국을 넘보는 것은 대의를 잃은 것이며 동양 평화를 해친 것이었기에 그 주역인 이토 히로부미를 죽이는 것은 정당한 행위였다구요.
안중근의 정연한 논리와 당당한 자세는 재판관과 간수들을 감탄케 했어요. 간수들 중에는 그런 안중근을 흠모하여 글씨를 부탁한 이들이 있었는데, 안중근의 유묵이 일본에 많이 남아있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죠.
글씨는 곧 그 사람이란 말이 있어요[書如其人]. 안중근의 글씨를 보면 안중근이 어떤 사람인지를 여실히 알 수 있어요. 사진은 안중근의 글씨인데, 저처럼 글씨에 특별한 안목이 없는 사람이 봐도, 초탈하고 과감하면서도 바른 자세가 느껴져요.
사진의 본문은 '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恥惡衣惡食者不足與議)'라고 읽어요. 낙관은 '경술삼월 어여순옥중 대한국인 안중근 서(庚戌三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 安重根 書)'라고 읽고요. "남루한 옷을 입고 형편없는 음식을 먹는 자신의 처지를 부끄러워한다면 이런 자와는 함께 (도를) 말하기 어렵다." "경술년(1901) 3월 여순 옥중에서 대한국인 안중근 쓰다"란 의미예요. 본문은 논어 <이인>편에 나오는 내용인데 앞 부분이 일부 빠져 있어요(자왈 사지어도이(子曰 士志於道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비가 도에 뜻을 두고 있다고 하면서').
안중근은 집안이 넉넉해서 여유있게 살 수 있는 형편이었지만 일부러 험한 길을 택했어요. 그 택한 길을 '도의 추구'라고 할 수 있겠지요. 자신의 사재를 털어 학교를 세웠으며 독립 운동에 자신의 삶을 던졌어요. 그런 그에게 먹을 것 입을 것을 걱정하는 것은 비루한 일로 여겨졌을 거예요. 사진의 본문은 비록 공자의 말이지만 안중근 자신의 말이기도 할 거예요. 안중근의 글씨가 초탈하고 과감하면서도 바른 자세를 보이는 것은 이런 자신의 삶이 투영됐기에 그런 걸 거예요. 글씨는 곧 그 사람이란 말이 결코 허언이 아닌 듯 싶어요.
뉴스를 보니 안도현 시인이 대법원에서 무죄 확정을 받았다는 소식이 있더군요.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에서 활약했던 안 시인은 당시 한나라당 후보였던 박근혜씨가 청와대에 있던 안중근의 사진 유묵을 10. 26 사태이후 청와대를 나오면서 가져갔다고 했다는군요. 박근혜씨는 그런 일이 없으며 소장하고 있지도 않다 했고, 이후 안 시인은 무고죄로 재판에 넘겨져 3년여에 걸쳐 재판을 받았다는군요. 대법원의 최종 확정심 요지는 이렇더군요: "안 시인의 주장은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러나 그가 주장의 근거로 삼은 여러 자료들의 내용은 그 나름의 논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 자료들을 근거로 내세운 안 시인의 주장은 진실과는 거리가 있을지언정 무고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안중근의 유묵 분실건을 통해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독려한 것은 선거 캠프에 참여한 이로서의 무리한 행위라고 보기 어렵다."
현재 사진의 유묵은 행불 상태라고 해요. 누가 소유하고 있을까요? 분명한 것은 현재 이 유묵을 소장하고 있는 이는 안중근이 쓴 이 글의 내용과 배치되는 삶을 살고있는 사람일 거라는 점이에요. 그렇지 않으면 왜 감추고 세상에 내놓지 않겠어요? 어떤한 상황에서도 당당한 삶을 사는 사람, 그런 이가 안중근의 유북을 소유해야 할 것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목숨 바쳐 나라의 독립을 찾으려 했던 고인을 욕보이는 것 아니겠어요?
사진의 한자 중 恥, 惡, 議만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恥는 耳(귀 이)와 心(마음 심)의 합자예요. 마음 속에 있는 부끄러운 점이 귀에 나타난다는 의미예요. 창피하고 부끄러울 때 귀가 빨개지는 것을 표현한 것이지요. 부끄러울 치. 恥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羞恥(수치), 恥辱(치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惡은 心(마음 심)과 亞(버금 아)의 합자예요. 亞는 본래 등과 배가 나온 기형적인 사람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하다'란 의미예요. 여기서는 이 뜻으로 사용됐어요. 고의적으로[心]으로 행한 추한 일이란 의미예요. 악할 악. 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惡行(악행), 凶惡(흉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議는 言(말씀 언)과 義(옳을 의)의 합자예요. 사리의 올바름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눈다란 의미예요. 의논할 의. 議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討議(토의), 議論(의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恥 부끄러울 치 惡 악할 악 議 의논할 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論( ) 羞( ) ( )行
3.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을 소리내어 읽고 그 느낌을 말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