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篇多寫洞庭君山景物,讀之超然神馳於彼矣。見敎作詩,旣才思拙陋,又多難畏人,不作一字者,已三年矣。所居臨大江,望武昌諸山咫尺,時復葉舟縱遊其間,風雨雲月, 陰晴早暮,態狀千萬,恨無一語略寫其彷彿耳。會面未由,惟千萬以時珍重。何時得美解,當一過我耶?[蘇軾, 答上官長官二首]
보내주신 시편에 동정호 군산의 풍경을 묘사하신 것이 많더군요. 읽으면서 홀연 그곳으로 달려가고픈 마음이 일었습니다. 작시의 가르침을 주셨으나 재주가 불민하고 사람들을 어려워하는터라 한 글자도 짓지 못한 채 3년을 보냈습니다. 사는 곳이 대강에 임한지라 무창의 제(諸) 산들이 지척에 보입니다. 때로 조각배를 띄우고 그 사이를 노닙니다만 바람과 비 그리고 구름과 달 흐린 날과 개인 날 이른 아침과 저물녘 그 천변만화의 모습들을 핍진하게 그릴 단 한 마디도 얻지 못한 것이 너무도 한스럽습니다. 뵈올 길이 없군요. 부디 몸 조심하시옵소서. 언제 아름다운 해후를 할 날이 있을런지요? 한 번 찾아 주시지 않을런지요? [소식, '상관 장관에게 답하다']
사진은 이따금 들르는 칼국수 집 벽지를 찍은 거예요. 자체(字體)에 익숙치 않아 무슨 내용인지 파악할 수가 없더군요. 도장에 '소동파'라고 되어있어 혹 '적벽부(赤壁賦)'의 일부인가 싶어 - 적벽부는 소동파의 대표작이죠 - 찾아 보았으나, 아니더군요. 여러 날 창문에 붙여놓고 이리저리 생각을 굴려 봤으나 막막하기만 하더군요. 그런데,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인터넷을 찾아봤더니 관련 자료가 있는 거예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2&docId=128418159&qb=7IaM6rGw7J6E64yA6rCV&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xvgVdoRR10ssuJBaEdsssssssR-045096&sid=HhGdxLm4g6IuGgYjRRyKmQ%3D%3D)
얼마나 기쁘던지요! 그러면서 한편으론 허무하기도 하더군요. 앞으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일단 인터넷을 먼저 찾아봐야 겠어요.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여 벽지의 내용을 보니 제가 이해하지 못한 것도 무리는 아니더군요. 원문을 두서없이 짜집기하여 늘어 놓았기 때문에 이해가 안됐던 거예요(위 내용의 색깔 표시 글자 참조. 파란색 글씨는 벽지의 하얀 색 글자임).
그런데 인터넷 자료의 내용이 좀 부실하더군요. 위 벽지 내용의 원문과 번역을 실어 놓았는데 번역이 약간 이상했어요. 글쓴이의 노고가 반감된 듯 하여 안타깝더군요. 하여 제가 약간 손을 봤어요. 하지만 저의 번역도 완벽하다고 장담하진 못하겠어요(죄송).
소동파의 산문은 섬세하면서도 유장한 것이 특징이에요. 위 짧은 편지로는 그런 맛을 제대로 느끼기 어렵지만 약간은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소동파는 이 편지에서 글을 쓰고 싶어도 쓰지 못하는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어요. 저간의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으나 단순히 표현력이 부족하여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편지 말미에 상대가 자신을 방문해주길 기대한다는데서 그런 기미가 느껴져요. 단순한 마무리 인사라고 볼 수도 있지만, 왠지 간절히 방문을 바라는 것 같거든요. 방문을 바라는 것은 자신의 처지가 답답하기 때문 아니겠어요? 그런 답답한 처지가 소동파로 하여금 붓을 들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 아닌가 싶은 거죠.
벽지에 나온 한자를 읽어 볼까요? 짜집기한 것이니 다 읽기는 그렇고, 문장이 연결되는 부분만 빠진 원문을 첨가하여 읽어 보도록 하죠.
所居臨大江 바 소, 거할 거, 임할 임, 큰 대, 강 강.
望武昌諸山咫尺 바랄 망, 굳셀 무, 창성할 창, 모두 제, 뫼 산, 길이 지, 자 척.
時復葉舟縱遊其間. 때 시, 다시 부, 잎사귀 엽, 배 주, 놓을 종, 놀 유, 그 기, 사이 간.
臨, 望, 武, 咫, 縱, 遊가 좀 낯설어 보이는군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臨은 臥(엎드릴 와)와 品(물건 품)의 합자예요. 몸을 숙여 여러 사물을 살펴보는 모습을 표현한 거예요. 그런 모습을 '임하다'라고 하지요. 임할 임. 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枉臨(왕림), 再臨(재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望은 亡(도망할 망)과 朢(보름 망)의 약자가 합쳐진 거예요. 도망한 사람이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의미예요. 朢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보름달이 이지러짐없이 온전하듯 도망한 사람이 제자리에 돌아와 온전해지기를 바란다는 의미로요. 바랄 망. 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希望(희망), 野望(야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武는 戈(창 과)와 止(그칠 지)의 합자예요. 무력[戈]으로 무력을 그치게[止] 한다란 뜻이에요. 전쟁을 한다는 의미지요. 전쟁은 전쟁을 없애기 위해 하는 자기 부정적인 행위예요. '굳세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武器(무기), 武力(무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咫는 尺(자 척)과 只(다만 지)의 합자예요. 보통 여인의 손 길이인 팔촌(八寸)을 의미해요. 주나라 때는 팔촌을 한 자[一尺]로 삼았었기에 尺으로 뜻으로 표현했어요(지금은 십촌을 한 자로 취급하죠). 只는 음만 담당해요. 길이 지. 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咫尺(지척, 가까운 거리), 咫步(지보, 얼마 안 되는 걸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縱은 糸(실 사)와 從(좇을 종)의 합자예요. 느슨하게 풀어 놓았다란 의미예요. 실을 잡아 당기지 않고 느슨하게 내버려둔 것으로 그 의미를 나타냈어요. 從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거스르지 않고 따른다는 의미로 본뜻을 보충하고 있는 거죠. 느슨하게 풀어놓은 것은 상대의 뜻을 거스르지 않고 그대로 따르는 것이란 의미로요. 놓을 종. 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放縱(방종), 縱擒(종금, 놓아 줌과 사로 잡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遊는 辶(걸을 착)과 斿(깃발 유)의 합자예요. 깃발이 바람따라 휘날리듯 특별한 목적없이 한가로이 여기저기 거닌다는 의미예요. 놀 유. 遊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遊覽(유람), 遊戱(유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臨임할 임 望바랄 망 武굳셀 무 咫길이 지 縱놓을 종 遊놀 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放( ) ( )力 枉( ) ( )覽 希( ) ( )尺
3. 다음 문장을 읽고 풀이해 보시오.
所居臨大江 望武昌諸山咫尺 時復葉舟縱遊其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