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에 갔더니 매화가 활짝 피었더군요. 그 집 매화는 어떤가요?"

 "글쎄요?"

 "..."

 

 아이고 부끄러워라. 제 집 앞의 매화 소식도 모르다니. 상대방과 대화가 끝나기 무섭게 집에 달려와 매화나무를 보았어요. 아, 놀랍게도 꽃 한 송이를 피우고 두 어 개는 개화 직전이더군요. 비록 설중매는 아니지만 화신(花信, 꽃 소식)이 먼 시기에 피운 꽃인지라 더없이 기특하게 느껴지더군요. 보태어 왜 매화를 지사(志士)에 비유하는지도 가늠하게 됐구요.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이란 구절이 있죠. "매화는 일생을 추위속에 지낼지언정 향기를 팔지 않는다."란 뜻이에요. 지조를 지키는 이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지요. 시대가 어두울수록 이런 지조있는 이를 그리워하게 되죠. 아마 이색(李穡)도 그런 이를 그리워 했던 것 같아요.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요즘 정치권은 공천 문제로 떠들썩하죠. 공천에 떨어져도 군말없이 백의종군하며 엄혹한 시기를 감수할 정치인은 별로 보이지 않는군요. 혹독한 시기를 거치면 저 매화처럼 놀라운 개화를 할 수도 있을텐데... 정치의 속성을 모르는 무지한 이의 허망한 생각일까요?

 

인용한 글귀의 한자를 읽어 볼까요? 梅는 매화 매, 一은 한 일, 生은 날 생, 寒은 찰 한, 不은 아니 불, 賣는 팔 매, 香은 향기 향이라고 읽어요. 梅 · 賣 · 香을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木(나무 목)과 每(매양 매)의 합자예요. 본래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喬木, 큰 키 나무)인 녹나무를 가리키는 글자였어요. 후에 매화나무를 의미하는 글자로 바뀌었지요. 매화나무를 의미하는 글자는 본래 某였는데, 某는 '아무개'라는 의미로 바뀌었지요(아무 모). 梅와 某는 본뜻을 읽어버린 불쌍한 글자라고 할 수 있어요. 某는 甘(달 감)과 木(나무 목)의 합자로 쉽사리 신 맛으로 바뀌는 단 맛의 과실 나무란 의미를 표현한 것이에요. 매실을 염두에 두고 만든 글자였지요. 매화 매. 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梅實(매실), 一枝梅(일지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出(날 출)과 貝(조개 패)의 합자예요. 돈[貝]되는 물건을 내놓고 판다는 의미예요. 팔 매. 賣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販賣(판매), 賣買(매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黍(기장 서)와 甘(달 감)의 합자예요. 기장이 발산하는 달콤한 향기라는 의미예요. 향기 향. 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香氣(향기), 香水(향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플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매화 매    팔 매   향기 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實   (    )氣   販(    )

 

3. 다음을 읽고 풀이해 보시오.

 

   梅一生寒不賣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