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접빈객거후회(不接賓客去後悔) - 손님을 제대로 대접하지 않으면 (그가) 떠난 뒤 후회하게 된다."

 

 예전 시골 집에는 이따금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이란 것을 액자에 담아 걸어 놓곤 했어요. 목전의 이익에 골몰하여 대상에게 잘못했다가 때늦은 후회를 할 수 있으니 미연에 방지하라고 경계하는 글이었죠. 10가지 인간 관계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데 첫 대목이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 - 부모에게 불효하면 돌아가신 뒤 후회한다" 예요. 머리글에 인용한 대목도 그 중 한 대목이지요.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집에 누군가를 들이는 것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갖게 된 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식사는 대개 밖에서 해결하고 집에서는 다과 정도만 대접하게 되었죠. 상황이 이렇다보니 아파트에 초대받아 가는 것도 왠지 마음이 편치 않아요. 왠지 상대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아서 말이지요. 이제 더 이상 '부접빈객거후회'의 덕목은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집에 찾아 올 손님이 없으니 말이에요.

 

 아파트에서 내쫓긴(?) 손님들이 갈 곳은 이제 시중의 음식점 밖에 없죠. 그러다보니 음식점은 가정에서 손님 대접하던 그런 정성으로 손님을 대해야 하는 부담아닌 부담까지 지게 된 것 같아요. 일단은 생존을 위해서 친절한 서비스를 하겠지만, 그보다는 집에서 내쫓긴 불쌍한(?) 손님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친절한 서비스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봐요.

 

 사진은 어느 음식점에서 찍은 거예요. '내방객복덕구족(來方客福德具足)'이라고 읽어요. 찾아오신 손님들 모두 복과 덕이 충만하길 빈다는 내용이에요. 문구가 이래서 그랬을까요, 손님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진실성이 묻어나 음식을 먹는내내 흐뭇했어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來는 올 래, 方은 모(방위) 방, 客은 손님 객, 福은 복 복, 德은 덕 덕, 具는 갖출 구, 足은 족할 족(보통은 발 족으로 많이 사용하죠)이에요. 福, 德, 具가 좀 낮설어 보이죠? 자세히 살펴 볼까요?

 

은 示(神의 약자, 귀신신)과 畐(가득할복)의 합자예요. 인간의 바램에 신이 응답하여 충족시킨 헤택이란 의미예요. 복 복. 복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祝福(축복), 壽福(수복)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彳(걸을척)과 直(곧을직)과 心(마음심)의 합자예요. 본래의 의미는 '향상하다, 진보하다'의 의미예요. 진보하려면 내면의 수양된 정직한 마음이 외면으로 표출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直과 心을 추가했어요. 혹자는 이렇게 설명하기도 해요. 德은 본래 悳으로 썼으며, 후에 彳이 추가된 것이다. 속임없는 정직한 마음이 곧 덕이라는 의미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덕 덕. 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道德(도덕), 德望(덕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양 손의 의미)와 目(패의 약자, 조개패)의 합자예요. 目은 여기서 재화(물)의 의미예요. 두 손에 재물을 받쳐 든 모양으로 (만일의 경우를 위하여) 재물을 준비해 놓는다란 의미예요. 갖출 구. 具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具備(구비), 道具(도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복복   덕덕   갖출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望  壽(   )  (   )備

 

3. '내방객복덕구족'을 한자로 쓰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