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집에 텔레비젼이 없어요?"

 

 상대방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저희 집엔 텔레비젼이 없어요."라고 하면 대부분 이상하다는 듯 한 표정을 지으며 꼭 한 번 다시 물어봐요. 그러면서 추가 질문을 하죠. "심심하지 않아요?"

 

 집에서 텔레비젼을 몰아낸지가(?) 근 10년이 넘어가는 것 같아요. 흔히 말하듯 아이들 교육을 위해서 텔레비젼을 없앤 것은 아니고, 단지 시끄러워서 없앴을 뿐이에요. 텔레비젼을 없앤 얼마간은 좀 이상하더군요. 늘 거실에서 무슨 소린가 들렸었는데 아무 소리도 안들리니 왠지 허전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불안하기도 하더군요. '텔레비젼을 다시 들여놓을까?'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하지만 게으른 성미 탓이라 생각만 하고 그렁저렁 지내다보니 어느새 텔레비젼 없는 것에 익숙해 지더군요. 텔레비젼을 없앤 대신에 특별히 무슨 일을 더 하게 -- 예를 들면, 독서를 한다든가 혹은 운동을 한다든가 -- 되지는 않았어요. 그저 조용해진 것 뿐이죠. 그리고 '조용한 것'에 덜 허전하고 덜 불안해 졌구요. 지금은, 더없이 편안하죠.

 

사진은 지인과 음식점에 들렸다가 찍은 거예요. "산정송성원 추청천기향(山靜松聲遠 秋淸泉氣香)"이라고 읽어요. "산 고요하니 솔바람 소리 멀리까지 들리고, 가을 기운 청명하니 샘물 맛 향기롭네"라고 풀이해요. 고요하고 청명한 가을 날을 그린 내용이에요. 단순한 서경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서경을 빌린 서정시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럴 경우, 고요한 산과 맑은 가을 기운은 수양된 인격을, 솔바람 소리와 향기로운 샘물 맛은 그 사람의 언행을, 멀리까지 들린다와 향기롭다는 그 영향을 그린 것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서예 작품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글귀더군요. 출전이 어딜까 궁금해서 여기저기 뒤져봤는데, 검색 솜씨가 부족해서 그런지 결국은 알아내질 못했어요(죄송). 이 글귀를 대하니 문득 텔레비젼 없는 저희 집이 생각나 몇 마디 중얼거렸어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山은 뫼 산, 靜은 고요할 정, 松은 소나무 송, 聲은 소리 성, 遠은 멀 원, 秋는 가을 추, 淸은 맑을 청, 泉은 샘 천, 氣는 기운 기, 香은 향기 향이라고 읽어요. '가을 추' 자가 좀 이상하죠? 일반적으로는 '秋'로 쓰는데, 이따금 사진의 글씨처럼 쓰기도 해요.

 

몇 자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靑(푸를 청)과 爭(다툴 쟁)의 합자예요. 본래 의미는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뜻이에요. 靑은 초목이 싹을 틔울 때의 색으로, 그 빛깔이 분명하죠. 그래서 이 글자로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의미를 표현했어요. 爭은 음을 담당하면서(쟁-->정)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그런데 爭은 지금은 '다투다'란 뜻으로 주로 사용하지만 본래는 '이끌어 들인다'는 의미였어요. 여기서는 이 의미로 본뜻을 보충하고 있어요. 분명하게 살펴 보려면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이끌어 들여야 한다는 의미로요. '고요하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분명하게 살펴 보려면 요란해서는 안되고 고요해야 한다는 의미로요. 고요할 정. 靜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靜寂(정적). 精肅(정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耳(귀이)와 殸(磬의 초기 형태, 경쇠경. 옛 악기 중의 하나)의 합자예요. 귀로 인식하는 대상, 즉 '소리'란 의미예요. 殸은 음을 담당하면서(경-->성)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옛 악기의 팔음(八音) 중에서 가장 선명하게 들리는 음이 경쇠의 리란 의미로요. 귀로 인식하는 대상(소리) 중에서 가장 선명한 것을 한 예로 추가한 것이지요. 참고로, 팔음은 絲(실 사), 竹(대 죽), 金(쇠 금), 石(돌 석), 匏(박 포), 土(흙 토), 革(가죽 혁), 木(나무 목) 으로 만든 악기에서 나는 소리를 말해요. 소리 성. 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聲量(성량), 音聲(음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辶(걸을 착)과 袁(옷길 원)의 합자예요. 서로 간의 왕래 거리가 멀다란 의미예요. 袁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하고 있어요. 옷의 길이가 길은 것처럼 거리가 멀다란 의미로요. 멀 원. 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遠近(원근), 望遠鏡(망원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수원지(水源地)를 그린 거예요. 白은 수원지 구멍을 그린 것이고, 水는 물이 흘러 나오는 모양을 그린 거예요. '샘'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수원지의 물은 본래 그 형태나 양이 미미하죠. 그같이 작은 물이란 의미로요. 샘 천. 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源泉(원천), 溫泉(온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禾(黍의 약자, 기장 서)와 曰(甘의 약자, 달 감)의 합자예요. 향기롭다란 의미예요. 좀 더 정확하게는 초목의 냄새가 향기롭다는 의미예요. 초목 중에서 인간과 가장 가까운 것은 오곡(五穀)이죠. 이 오곡 중에서 가장 향기로운 냄새를 가진 기장으로 '향기롭다'란 의미를 표현했고, 달콤하다란 의미의 甘으로 의미를 보완했어요. 향기로운 것은 달콤하기도 하다란 의미로요. 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香水(향수), 芳香劑(방향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고요할 정    소리 성    멀 원    샘 천    향기 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     )   (     )    (     )   (     )

 

3. '산정송성원 추청천기향'을 한자로 써 보시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둔굴재 2016-04-14 1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출전이 어딘지 궁금합니다. 古印이 있습니다.

찔레꽃 2016-04-15 1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죄송해요. 저도 출전이 어딘지 모르겠어요. ㅠ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