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같은 나라야!"

 "가슴이 먹먹하다."

 "실제는 저보다 더했을꺼야!"

 

 영화 '귀향'을 보고나온 지인들의 말이에요. 저는 뭐라 말을 못하겠더군요. 너무 마음이 아파서요. 인간이길 포기한 자들의 극한 모습은 저 자신이 그들과 같은 인간, 중에서도 남자라는 것에 대해 극도의 혐오감을 갖게 만들더군요. 보태어 이 나라의 위정자들과 일본이란 나라에 대해서도요. 왜 우리의 위정자들은 국민의 자존심을 지키주지 못하고, 왜 일본은 진정한 사과를 하지 않는 걸까요? 문명의 축이 유럽을 지나 미국을 거쳐 동아시아로 오고 있다고 하는데, 제가 보기엔, 모두 환상인 것 같아요. 아직도 인간의 품격을 갖추려면 멀었는데, 무슨 문명의 축이 동아시아로 옮겨 오겠어요.

 

 포스터의 '귀향'은 한자로 '鬼鄕'이라고 쓰고 있더군요. 그런데 보통 '귀향'은 '歸鄕'이라고 쓰지요. 鬼는 귀신 귀, 歸는 돌아올(갈) 귀, 鄕은 고향(시골) 향 이에요. 포스터 '귀향'의 영어 제목은 'Spirit's Homecoming'이에요. '영혼의 歸鄕'이란 의미지요. 이렇게 보면 포스터의 '귀'는 비록 '鬼'로 표기했지만 '歸'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요. 그래서 일부러 포스터 표제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 같아요. 한자로 표기하면 중첩된 의미를 나타내기 어려울테니까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에서 윗 부분은 머리, 아랫 부분은 사람[人], 중간의 厶는 음기가 응축된 것을 나타낸 거예요. 사람이 죽은 뒤 음기가 뭉쳐서 된 것으로 머리가 유달리 크며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는 존재란 의미예요. 귀신 귀. 鬼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鬼哭聲(귀곡성), 餓鬼(아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止(그칠지)와 帚(婦의 약자, 며느리 부)와 臣(신하신)의 중첩자가 합쳐진 거예요. '시집가다'란 의미예요. 여성은 시집을 가야 안정된 장소를 얻어 편안하다란 의미로 止를 사용하여 시집가다의 중심의미를 표현했어요. 帚와 臣의 중첩자는 시집가다란 의미를 보완하고 있어요. 시집을 가면 며느리가 되며, 며느리가 되면 신하가 임금을 섬기듯 시댁 식구와 남편을 섬겨야 한다는 의미로요. '돌아오다(가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시집가는 것은 자신이 살아야 할 집으로 돌아오는(가는) 것이라는 의미로요. 돌아올(갈) 귀. 歸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歸國(귀국), 歸農(귀농)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의 좌우에 있는 幺와 阝는 邑(고을읍)의 변형이에요. 가운데 글자는 음을 담당하구요. 사람들이 모여 사는 특정 구역들이란 의미예요. '시골'이나 '고향'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시골이나 고향은 당사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 지역이란 의미로요. 고향(시골) 향. 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鄕村(향촌), 鄕約(향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귀신 귀    돌아올(갈) 귀   鄕 고향(시골) 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    )約       ( )

 

3. 영화 '귀향'의 작품 제작 경위에 대해 간단히 말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