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꽤 오랫동안 보관했다 분실한 두 가지 물건이 있다. 필통과 휴지걸이. 둘 다 마곡사에서 산 것이다. 필통은 오래 전 아버지께서 샀던 것이고, 휴지걸이는 내가 어렸을 때 어머니를 따라갔다가 사온 것이다. 가 본 절이 많지 않은데 한 절에서 부자(父子)가 두 가지 기념물을 산 것은 예사롭지 않다. 흔한 말처럼 무슨 인연이 있는 것일까? 이제 부모님도 아니 계시고, 물건들도 어디론가 사라졌다. 그러나 마곡사와의 인연은 끝나지 않았다. 어린 아이가 중늙은이가 되어 다시 찾아온 것. 인적 호적한 겨울 마곡사, 계곡을 오르는데 갓 입문한 비구니 스님들이 연수를 받으러 개울가를 건넌다. 힐끗 얼굴을 쳐다보니 티없이 맑다. 나이도 나보다 한참 어려 보인다. 무슨 사연을 안고 절연한 채 불문에 들어온 것일까? 차가운 바람이 얼굴을 훑고 지나간다. 오늘은 인연과 삶이란 물건을 사왔다."
사진은 "태화산 마곡사"라고 읽어요. 끝에 있는 작은 글씨는 "여초거사"라고 읽고요. 태화산은 공주의 마곡사가 있는 산 이름이에요. 태화라는 의미는 '크고 화려하다' 혹은 '큰 꽃' 정도의 의미인데 마곡사가 위치한 곳이 봄 경치로 뛰어난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싶어요(유래를 찾기 어려워 혼자 추측한거라 정확하진 않습니다. 죄송).
마곡사의 마곡이란 절 이름에 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이 절을 창건한 자장율사가 설법할 때 대중들이 삼대처럼 빽빽이 들어서서 붙여진 이름이란 설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돼있어요. 그러나 자장율사가 이 절을 창건한 사실 자체가 의문시되기 때문에 이 또한 신빙성을 찾기는 어려운 이야기예요. 자장 율사가 창건한 연대로 전해지는 640년은 백제 의자왕 때로, 의자왕은 신라를 적대시했는데, 신라에서 국사로 대접받던 자장율사가 백제 땅에 절을 창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요. 그러나 뭐 어떻겠어요? 설이란 원래 그런 것 아니겠어요? 보다 중요한 것은 그 설이 전해주는 의미겠죠. 그 의미는 뭘까요? 아마도 이곳에서 저명한 스님이 설법할 적에 대중들이 많이 모였던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그리고 많이 모인 대상의 비유가 삼이었던 것을 보면 당시 절 주변에서 삼을 많히 재배했던 것 같구요. 너무 평범하게 해석한 걸까요?
여초거사의 여초는 현대 저명한 서예가인 김응현 선생의 호예요. 여초의 뜻은 '처음처럼'이에요. 김응현 선생은 그 형제가 다 유명한 서예가죠. 일중 김충현, 백아 김창현 선생이 그 분들이에요. 김충현 선생의 글씨는 도솔산 선운사 현판에서 봤지요. 김창현 선생의 글씨도 언제 인연이 닿으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거사란 의미는 재가(在家) 남자 신도를 부르는 호칭이이에요.
한자를 읽어 보실까요? 泰는 클태, 華는 꽃(빛날)화, 山은 뫼산, 麻는 삼마, 谷은 골짜기곡, 寺는 절사예요. 泰와 華와 麻가 좀 낯설게 보이는군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泰는 大(큰대)와 艸(拱의 약자, 두손맞잡을공)과 水(물수)의 합자예요. 물을 두 손으로 움켜잡으면 물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 나가듯 미끄럽다란 의미예요. 大는 음을 담당해요(소리값 변함. 대-->태). 크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미끄러우면 잘 잡히지 않죠. 잡히지 않는 것은 대개 크죠. 그래서 크다란 뜻을 갖게 된 거에요. 太(클태)와 통용해서 써요. 泰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泰平(태평) 泰山(태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華는 艹(풀초)와 䔢(花의 초기 글자, 꽃화)의 합자예요. 초목에 핀 꽃이란 의미예요. 빛나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꽃이 화사하다란 의미로요. 華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華麗(화려), 春華(춘화, 봄의 화사한 경치. 야한 그림은 春畵(춘화)로 표기해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麻는 广(집엄)과 천연 상태의 모시를 그린 글자의 합자예요. 집에서 가공한 모시란 의미예요. 천연 상태의 모시를 실로 만들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놓은 것을 의미하죠. 麻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麻(대마), 麻衣太子(마의태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泰클태 華꽃(빛날)화 麻 삼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麗 ( )山 ( )衣太子
3. 다음을 손바닥에 한자로 써 보시오.
태화산 마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