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위에서 시신을 굴려. 굴러가다 멈추는 곳이 가장 좋은 묘자리야."

 

풍수지리라는 말을 들을 때면 생각나는 말이예요. 어디서 누구에게 들었는지 모르겠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말만은 선명하게 기억해요. 공감가는 말이기에 그런가 봐요. 죽은 이가 뭘 알겠어요. 겉으로는 죽은 이를 위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산 자를 위하여 이것저것 계산하는 얄팍한 행위가 바로 풍수지리지요. (풍수지리는 대개 양택보다 음택을 정할 때 많이 사용하죠.) 그러니 굳이 산 자를 위하지 않는다면 시신을 굴려 묘자리를 잡은들 무슨 상관이 있겠어요? 저 말은 풍수지리를 통렬히 비판한 말처럼 들려요.

 

그러나 저 말이 풍수지리 자체를 비판한 것 같진 않아요. 다만 그것을 이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일침을 가한 것처럼 생각되요. 무지막지한 말 같지만 여러모로 생각을 하게 만드는 말이지요. 공감이 갈 밖에요.

 

사진의 한자는 "내포 풍수 지리, 음택 · 양택, 수맥 · 택일"이라고 읽어요. 덕산을 지나다가 찍었어요. 내포는 바다나 호수가 육지로 쑥 들어온 곳을 말하는데 흔히 충청도 서북부를 지칭하는 말로 쓰여요. 평야지대에다 해산물이 많이 나와 살기에 좋은 지역이죠. 구체적으로는 가야산 앞 뒤의 열개 고을(홍주, 결성, 해미, 태안, 서산, 면천, 당진, 덕산, 예산, 신창)을 가리켜요. 음택은 죽은 이가 사는 곳(집), 즉 묘자리란 의미예요. 양택은 산 사람이 사는 곳(집), 즉 집터란 의미예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안내(內), 물가포(浦), 바람풍(風), 물수(水), 땅지(地), 이치리(理), 그늘음(陰), 집택(宅), 볕양(陽), 맥맥(脈), 가릴택(擇), 날일(日).

 

낯선 한자를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氵(물수)와 甫(씨보, 남자의 미칭)의 합자예요. 물가에 인접한 땅이란 뜻이에요. 이 곳은 대개 비옥하기에 남자의 미칭(美稱)인 甫를 사용하여 음을 나타냈어요(소리값 변함. 보-->포). 甫는 음과 더불어 뜻도 일부분 담당하고 있는 셈이죠. 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浦口(포구), 浦項(포항, 지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阝(언덕부)와 侌(어두울음)의 합자예요. 侌은 햇빛이 구름에 가려 어둡다란 뜻이예요. 어두워서 음침하게 된 장소[ 阝]란 의미예요. 陰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陰地(음지), 陰德(음덕, 남 모르게 하는 선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阝(언덕부)와 昜(밝을양)의 합자예요. 昜은 햇빛이 잘 비춘다란 뜻이예요. 높고 햇빛이 잘 비추는 장소 [ 阝]란 의미예요. 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陽地(양지), 太陽(태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면)과 乇(찢을탁)의 합자예요. 乇은 초목의 싹이 땅을 뚫고 올라오는 것을 뜻해요. 평지보다 높게[乇] 마련한 거주지란 의미예요. 움집이 아닌 한 집은 평지 위에 올려 짓죠. 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住宅(주택), 宅地(택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扌(손수)와 睪(엿볼역)의 합자예요. 살펴보고[睪] 선택한다[ 扌]란 의미예요. 擇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選擇(선택), 擇日(택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月(肉의 변형, 고기육)과 派(물갈래파)의 약자가 합쳐진 거예요. 인체[月]내에서 여기저기로 갈라져 혈액을 유통시키는 관(管)이란 의미예요. 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脈搏(맥박), 診脈(진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물가포    그늘음    볕양    집택    가릴택    脈맥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診(   )    選(   )    (   )口    住(   )    (   )德    (   )地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풍수지리   택일   수맥   양택   음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