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 오늘도 저와 한 잔 하시죠? 날도 궂은데 잘 됐군요. 오늘은 곡주를 한 잔 올릴까 합니다. 맛이 어떠신가요? 한 잔 더 따르라고요? 첫 잔에 반하셨군요. ^ ^ 첫 잔에 반하셨으니, 계속 드셔야 겠네요? 이제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실 거에요. 은근히 도수가 세거든요. 이 술의 별명은 '앉은뱅이 술'이에요. 맛좋고 도수 높아 자꾸 먹다 취하면 못일어난데서 붙여진 별명이지요. 정식 이름은 한산(韓山) 소곡주(素麯酒)에요.
韓은 나라한 山은 뫼산 素는 흴소 麯은 누룩곡(본음은 '국'이에요) 酒는 술주. 한산은 지명이에요. 모시 생산으로도 유명한 곳이죠. 소곡주라는 술이름은 누룩을 적게 사용하여 술빛이 맑고 깨끗한데서 붙여진 것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주중의 하나지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배운 글자도 있는데, 복습삼아 다시 한 번 훑어 보도록 하시죠? ^ ^
韓은 韋(가죽위)와 倝(우물난간간)의 약자가 합쳐진 글자에요. 짐승과 어린 아이의 접근을 막기 위에 부드러운 가죽으로 묶어 우물위에 설치한 격자형 난간이란 의미에요. 韓은 후일 이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고 국호(國號)로만 쓰이게 되었는데, 국호의 의미는 햇살이 비치는 곳이란 의미를 강조하여 사용된 것으로 보여요. 倝에는 햇살이 사방으로 비친다는 의미도 있거든요. 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韓民國(대한민국), 韓非子(한비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山 은 잘 아시죠? ^ ^ 산들이 연이어 있고 그 아래 계곡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거에요. 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山岳(산악), 登山(등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素는 섬세한 결의 하얀 비단이란 의미에요. 이 글자의 아래 부분은 비단의 재료가 되는 실을 나타낸 것이고, 위는 과실이 무성하게 매달린 모양을 형용한 것이에요. 과실이 무성하게 매달린 것처럼 많은 실을 사용하여 섬세하게 짠 하얀 비단이란 의미지요. 지금은 '하얗다'란 의미로만 사용하죠. 素는 '바탕'이란 의미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본 뜻에서 연역된 의미에요. 하얀 것은 모든 색의 기본이란 의미로요. 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素服(소복), 素質(소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麯은 麥(보리맥)과 䒼(잠박곡)의 약자가 합쳐진 거에요. 술의 재료인 쌀이나 보리를 발효시키는 물질, 누룩이란 의미에요. 누룩은 잠박(채반 비슷한 물건. 본래 누에를 기를 때 사용)에다 놓아 곰팡이 균이 생기게 하기 때문에 䒼을 추가시켰어요. 麯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麯室(곡(국)실, 누룩을 뜨게 하는 방), 麯生(곡(국)생, 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酒는 본래 酉 만으로 술의 의미를 나타냈는데, 후에 술의 형태[액체]와 주원료의 의미를 강조하여 氵(물수)를 추가한 것이에요. 酉는 술이 들어있는 술병을 그린 거에요. 酒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淸酒(청주), 酒邪(주사, 나쁜 술버릇)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나라한, 뫼산, 흴소, 누룩곡(국), 술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室, 淸( ), 大( )民國, 登( ), ( )服
3. 본인이 아는 유명한 술과 그 유래에 대해 말해 보시오.

한산은 사촌들이 살아서 친근함이 느껴져요. 그래서 그럴까요? 소곡주도 남다르게 느껴집니다. ^ ^
사진은 사촌이 저의 어머님께 선물한 공작선(孔雀扇)이에요. 한산 사촌 중 한 분이 공작선 제작에 일가견이 있었어요. 이제는 사촌도 어머님도 다 먼 길을 떠나셨지요.
갑자기 울적해 지는군요. 안사람한테 공작선을 부치라고 하고 저도 소곡주 한 잔 할랍니다. 자, 같이 드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