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좋은 집처럼 포근한 남편이 되겠습니다. 몸에 맞는 옷처럼 편안한 아내가 되겠습니다 … "

 

얼마 안있으면 결혼 할 직장 동료가 책상 위에 청첩창을 갖다 놓았어요. 문구가 살뜰하더군요. 모쪼록 처음 마음처럼 알뜰하게 살기를 마음 속 깊이 축원했어요.

 

사진은 제가 결혼할 때 선물 받았던 액자의 글씨에요. 청첩장을 받고보니 불현듯 옛 생각이 나서 찍었네요.금슬우지 종고락지(琴瑟友之 鐘鼓樂之)라고 읽어요. "금슬처럼 우애롭고 종북처럼 화락하라"고 풀이해요. <시경>에 나오는 글귀로, 서로 음의 조화를 맞추는 금슬과 종고처럼 사이좋게 살라는 의미지요. 이렇게 살려고 노력은 하는데 아직도 불협화음이 많아 액자를 볼 때마다 자꾸 반성하게 됩니다. ^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거문고금(琴) 거문고슬(瑟) 벗우(友) 갈(어조사)지(之) 쇠북종(鐘) 북고(鼓) 즐거울락(樂) 갈(어조사)지(之). 之는 여기서 특별한 의미없이 글자수를 맞추며 시의 어기(語氣)를 조절하는 역할을 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瑟과 之와 鼓만 살피려고 해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琴(거문고금)의 약자와 必(반드시필)의 합자에요. 必에는 '절제'란 의미가 내포돼 있어요. 거문고와 유사한 현악기로 욕망을 절제하고 바른 심성을 키우는 악기란 의미에요. 복희씨가 만들었다고 전해져요. 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琴瑟(금슬), 瑟瑟(슬슬, 바람소리를 표현한 의성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의 아랫 부분인 乀은 땅을 의미하고 나머지 윗 부분은 발을 의미해요. 이 쪽에서 저쪽으로 걸어간다란 의미에요. 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단어로는 들만한 게 없네요. 문장으로 예를 들어야 겠네요. 將何之(장하지, 장차 어디로 가려는가?)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之는 '가다'라는 뜻보다 '~의'란 소유격 조사와 '그'란 지시대명사의 쓰임으로 더 많이 사용돼요. 雲雨之情(운우지정, 구름과 비의 정. 남녀간의 의좋은 정분을 의미), 연심이어생지(淵深而魚生之, 연못 물이 깊으면 물고기들이 그곳에 산다) 등이 그 예에요.

 

는 북을 치는 모습을 그린 거에요. 士는 북의 장식물, 口는 북, ㅛ는 북 받침대, 支는 손에 북채를 든 모습을 그린 거에요. 鼓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鼓動(고동), 鼓吹(고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거문고슬, 갈지, 북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將何(    ), (    ), (    )

 

3. 다음을 읽고 우리 말로 풀이 해 보시오.

 

  琴瑟友之 鐘鼓樂之

 

 

결혼하는 동료에게 뭔가 의미있는 선물을 주고자 한시를 하나 지어 봤어요. 글자가 생경하지만 이해하고 받아 주겠죠?

 

  婚姻編二姓혼인편이성  혼인은 이성의 결합이라

  友愛亦恭加우애역공가  우애와 공경이 필요하다네

  瑟鼓和諧樂슬고화해락  금슬처럼 종고처럼 화해하고 즐겁다면

  偕螽何惑耶해종하혹야  해로와 자손 번창 그 어찌 의심하리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