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산 일출 위에 나래를 펴고
  폭음도 우렁차게 하늘을 찌른다.
  목숨을 바치리라 조국을 위해
  싸우며 지키리라 겨레를 위해
  조국의 하늘은 우리가 지킨다.
  우리는 정예의 00전투비행단.

 

 사진은 공군 모 전투 비행단의 별칭을 적은 석조물이에요. 부대 입구에 우람하게 서 있어 한 장 찍었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용룡(龍) 별성(星) 돈대대(臺), 용성대라고 읽어요. 龍星은 28수(宿, 宿은 '별자리수'라고 읽어요. 보통은 '잘숙'이라고 읽지요)중 동방에 해당하는 별자리고, 臺는흙과 돌을 높게 쌓아 평평하게 만들어 천문을 관찰하거나 적의 동태를 감시하는 축조물을 가리켜요.

 

따라서 龍星臺는 '동방(우리 나라)의 하늘을 지키는 초소'란 의미에요. 위 노래에 나오는 '조국의 하늘은 우리가 지킨다'와 관련있는 이름이지요.

 

그런데 이상의 풀이는 제 생각일 뿐이고, 실제 어떤 의미로 이런 별칭을 붙였는지는 알 길이 없어요. 정보검색 솜씨가 부족해서 그런지 이 부대 별칭에 대한 설명을 찾을 길이 없더군요. 하여, 제가 그냥 추측으로 설명해 본 거에요. ^ ^

 

28수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요.

 

고대 천문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 중국 고대 천문학자들은 천상(天象)과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운행을 관측하기 위해 먼저 태양이 운행하는 궤적(軌迹)를 상상해 냈는데, 이를 황도(黃道)라 한다. 그 후에 황도 부근 28개 항성(恒星) 집단을 선택해 표지로 삼았는데, 이를 28(宿)라 한다. 그들은 또 28수를 네 방향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일곱 성수(星宿)를 일종의 동물 형상으로 상상해 냈다. 이를 살펴보면 동방의 창룡(蒼龍) 7(宿)는 각() · () · () · () · () · () · (), 북방의 현무[玄武: ()] 7수는 두() · () · () · () · () · () · (), 서방의 백호(白虎) 7수는 규() · () · () · () · () · () · (), 남방의 주작(朱雀) 7수는 정() · () · () · () · () · () · ()으로 동물 모양을 형성하였다(인용출처 : http://100.daum.net/encylpedia/view/48XXX9002172)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星이외  두 자는 이미 다뤘는데, 오늘은 한 번 더 다뤄보도록 하죠. ^ ^

 

은 용을 그린 거에요. 왼쪽의 立과 月은 용의 뿔과 머리 몸체를 그린 것이 변형된 거에요. 오른쪽 부분은 용이 날아가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 변형된 거에요. 용은 상상의 동물이지만 일설에는 공룡의 한 부류를 그린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있어요. 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恐龍(공룡), 龍床(용상, 임금이 앉는 자리. 용은 임금을 상징했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晶(맑을정)과 生(날생)의 합자에요. 맑고 밝은 빛을 발산하는 별이란 의미지요. 晶은 하늘의 별이 맑고 밝게 빛나는 모습을 표현한 거에요. 지금은 줄여서 日 하나로 표현하고 있지요. 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恒星(항성), 유성(流星)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之(갈지)와 高(높을고)와 至(이를지)의 합자에요. 위로 올라가게[之] 높이 쌓아 올려[高] 그곳에 머물러 있을 수[至] 있게 만든 장소란 의미지요. 臺가 들어간 것의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舞臺(무대) 守禦將臺(수어장대, 남한산성에 있죠)를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 뜻과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용룡, 별성, 돈대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舞(   ), 流 (   ), 恐 (   )

 

3. 다음 노래를 따라 부르시오.

 

    

 

 

3번 문제 해보셨는지요? 제가 어렸을 때 많이 부르던 노래입니다. ^ ^

 

군부대와 민간은 대부분 불편한 관계죠. 이 군부대도 마찬가지에요. 비행기 소음으로 인근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죠. 그래서 도의원이나 국회의원들이 출마할 때마다 이전을 제시하거나 민간 공항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곤 하죠. 대부분 공허한 약속에 그치고 말지만요. '뭔가 현실성있는 대책이 나와야 할텐데…' 龍星臺 앞을 지날 때마다 드는 생각이에요.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