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산포에서 청포대 쪽으로 난 해변길을 걷다가 찍은 사진이에요. 피서 다녀와서 찍었냐

구요? 아닙니다. 겨울에 갔다가 찍은 거에요. ^ ^ 전 여름에는 해변에 안갑니다. 덥기도 

하거니와 사람이 너무 많아서... 전 사람 많은데 가면 기운이 쪽 빠져요. ^ ^ 피서는 집  

이 최고죠. ^ ^ 하하하.                                                                                      

 

 한자를 읽어 볼까요? 汽는 김기, 水는 물수, 域은 지경역, 기수역이라고 읽어요. 그 의미

는 아래에.                                                                                                      

 

 

요컨대 기수역은 특수한 습지라고 할 수 있어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서 형성된 지역이

기 때문이지요. 기수역은 갯벌과 함께 그 중요성이 새삼 인식되는 지역이지요. 환경 정  

화와 함께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할 수 있는 지역이란 점에서요. 전에는 쓸모없는 땅이란

인식이 강했었지요.                                                                                           

                                                         

 그나저나 이 기수역에 대한 설명판은 좀 수정이 필요한 듯 해요. "염분과 수온 변화가 심 

 해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 말이 이상하잖아요?

            염분과 수온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적응력이 약할까요?  그렇지는           

않겠지요? 이 설명판은 두 문장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요.   

"기수역이란 바닷물에 강물, 하천의 민물이 혼합되어 희석된 곳으로 염분과 수온변화가

 심합니다. (하여)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환경변화에 뛰어난 적응능력을 가지고 있   

습니다." 좀 낫지 않나요? ^ ^                                                                              

 

멀리 백로인 듯 보이는 새가 있어서 사진을 한장 더 찍었어요. 겨울인데도 먹을게 있나 

봅니다.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水는 빼도 되겠죠?                                                 

 

는 氵(물수)와 气(구름이 중첩된 모양을 나타낸 것)의 합자에요. 물이 다 증발하여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었다란 의미에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김'이란 의미는 이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죠. 김은 물이 증발하여 위로 올라가면서 나오는 것이지요. 汽가 들

 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汽車(기차), 汽笛(기적, 기차가 내는 소리) 등을 들 수 있겠

                네요.                                                                                                                           

 

은 土(흙토)와 或의 합자에요. 或은 일정한 인구[口]와 영토[一] 및 무력[戈: 창과

]을 갖춘 지역이란 의미에요. 지금으로 말하면 국가의 개념이지요. 이 或에 역시 영토

의 의미인 口와 土를 붙여 國과 域이란 글자가 만들어 졌지요. 따라서 或, 國, 域은 본  

래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어요. 지금은 다 다르게 사용하죠. 或은 국가라는 의미보다  

는 '혹시'라는 뜻으로(왜 이런 의미를 갖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ㅠㅠ), 國은 '나라'

    라는 뜻으로, 域은 '지경(두 지역의 경계가 맞닿은 지역)'이란 의미로 사용하죠. 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地域(지역), 廣域(광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김기, 지경역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廣(   ),  (   )車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기수역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의 물을 왜 汽水라고 했는지, 설명하는 자료를 못찾겠더군     

요. 짐작컨대 汽水域은 습지이기 때문에 물이 고여 증발하는 관계로 그런 이름을 붙인

                  것 아닌가 싶어요. 재미있는 것은 중국어로 사이다를 汽水라고 표현한다는 거에요. 습지               

                 에 고여있는 물에서 뽀글뽀글 기포 현상이 발생하듯 탄산 음료도 그런 모습을 보이기에               

            그리 사용하는가 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