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두구육(羊頭狗肉)이란 말 들어 보셨나요? 양의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인데,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인 태도나 행동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하지요. 이런 의미와  상관없이 문자 그대로 보면, 중국에서는, 양고기가 상품(上品)의 고기로 취급됐고 개고기는 하품(下品)의 고기로 취급됐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고 보면 중국 사람들은 우리 나라의 보신탕을 갖잖은 음식으로 취급했을(할) 것 같아요. ㅠ ㅠ

 

  그런데 요즘 이 상품의 고기인 양고기를 취급한다는 간판이, 제가 사는 지역에, 눈에 띄게 늘었어요. 제가 사는 곳은 지방 소도시인데, 여기가 이런 정도라면 대도시는 굉장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곳에 주로 들르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조선족 분들이나 중국 분들이에요. 우리 사회 저변에서 힘든 일들을 도맡아 하고 계신 분들이죠. 이 분들이 모처럼만에 외식을 할 때 이곳을 찾는 것 같아요. 고향의 향수를 느끼면서 음식을 드시겠지요. 그런데 이건 황당한 추측인데, 이분들이 중국에 계실 때는 양고기를 그리 쉽게 드시지 못했을 것 같아요. 위에서 말했지만 양고기가 상품의 고기이기에 가격이 비쌀테니 말이지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한화가 위안화보다 가치가 높으니 양고기 먹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거에요. 먹고 싶은 마음만 있으면 돈은 그리 큰 문제가 안될 것 같아요. 어쩌면 조선족 분들이나 중국 분들이 한국에서 양고기를 드시며 "야, 이거 한국이나 되니까 먹지 고향에서는 어림도 없지!" 하지 않으실까 모르겠어요. 하지만 이상은 확인할 길 없는 저만의 황당한 추측일 뿐이에요. ^ ^

 

자, 사진의 한자를 읽어 볼까요? 羊은 양양, 肉은 고기육, 串은 꼬치찬이라고 읽어요. 양육찬, 양(고기)꼬치란 뜻이지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양을 그린거에요. 맨 위에 있는 점 두개는 뿔을 그린 것이고, 두 점 밑에 있는 一은 머리를 그린 거에요. 丨은 몸통과 꼬리를, 二는 네 다리를 그린 거에요. 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九折羊腸(구절양장, 양의 창자가 엄청 꼬여 있다는 뜻으로 길이 매우 꼬불꼬불하다는 의미로 사용하죠), 羊皮(양피, 양가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고기덩어리를 그린 거에요. 冂은 고기의 외형을, 내부에 있는 人 두개는 지금으로 말하면 마블을 그린 거에요. 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肉食(육식), 肉體(육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꿰다'란 의미에요. 丨은 가운데로 관통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고, 口 두개는 관통된 물건을 나타낸 것이지요. 꼬치라는 의미는 이런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이 한자는 '곶곶'이란 뜻과 음으로도 사용하는데, 이 경우는 한국에서만 사용해요. 일종의 귀화 한자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귀화하면 외형은 외국인이지만 이름은 한국 이름을 쓰잖아요? ^ ^  '곶'은 바다쪽으로 길고 좁게 내민 땅을 말해요. 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魚串(어찬, 물고기 꿰미), 長山串(장산곶, '매'로 유명한 곳이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양양, 고기육, 꼬치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食, 九折(    )腸, 魚(    )

 

3. 양고기를 이용한 요리 한가지를 소개해 보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