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벗이 몇인가 하니 수석(水石)과 松竹(송죽)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그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섯 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
윤선도 선생의 오우가(五友歌) 첫 수에요. 오늘 주련의 내용은 이와 유사한 면이 있네요. ^ ^ 오늘은 왼쪽 사진의 주련을...
호공매화주일산(好共梅花住一山)이라고 읽어요. "즐겨 매화와 더불어 한 산에 머무네"라고 풀이해요. 옛 선비들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이른바 사군자(四君子)를 혹호(酷好: 유달리 좋아함)했다는 것은 잘 아시죠? 매화는 특히 한매(寒梅)를 좋아했다고 해요. 차가운 날씨를 뚫고 꽃을 피우는 그 모습에서 군자의 지절(志節)을 연상했기 때문이겠죠.
주렴계는 그의 <애련설(愛蓮說)>에서 세상 사람들은 화사한 모란을 좋아 하지만 자신은 진흙탕에서 깨끗한 꽃을 피우는 연꽃을 사랑한다며 내적인 수양없이 부화(富華)함만을 추구하는 당시의 풍조를 비판한적이 있어요. 당대의 사람들 특히 사회를 이끄는 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면 그 사회의 기풍이 어떠한가를 알 수 있죠. 오늘날 이 사회의 지도자들은 무슨 꽃을 좋아 할까요? 매화는 아닌 것 같아요. ^ ^
한 글자씩 읽어 볼까요? 좋아할호(好) 함께공(共) 매화나무매(梅) 꽃화(花) 머물주(住) 한일(一) 뫼산(山), 호공매화주일산(好共梅花住一山).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好, 共, 梅 3자만 살펴보면 될 것 같아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나 너무 기초적인 거라...^ ^
好는 남자[子]와 여자[女]가 서로 좋아한다는 의미에요. 혹은 남자가 여자를 좋아한다고 풀이하기도 해요. 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好感(호감), 選好(선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共은 十十 (스물입)과 八(拱(손맞잡을공)의 약자)의 합자에요. 많은 사람들이 손을 맞잡고 병렬로 서있다는 의미지요. 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共同(공동), 共和(공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梅는 木(나무목)과 每(매양매)의 합자에요. 木이 매화나무란 뜻을 나타내고 每는 음을 나타내요. 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一枝梅(일지매, 의적 이름이죠. ^ ^), 梅實(매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좋아할호, 함께공, 매화나무매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實, ( )同, ( )感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好共梅花住一山
님은 무슨 꽃을 좋아 하시나요? 저는, 찔레꽃~ 내일 뵈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