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사대부의 기상과 문장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주련을 보도록 하시죠. 오늘은 왼쪽 것만. '춘풍대아능용물(春風大雅能容物)'이라고 읽어요. '봄바람처럼 큰 아량은 만물을 포용할만 하도다'라고 풀이해요.

 

봄바람은 만물을 차별없이 소생시키죠. 그처럼 만상(萬象)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요. 사람 마음이라는게 천지를 수용할 만 하다가도 어느때는 바늘 하나 들어가기도 어려울만큼 좁아지지요. 기분의 진폭에 따라 마음이 좌우되지 않으려면 평소 부단한 연마가 없이는 불가능할거에요. 추사 선생의 도량이 어땠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주련만 놓고보면 속좁은 분은 분명 아니었을 것 같애요.^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봄춘(春) 바람풍(風) 큰대(大) 우아할아(雅) 능할능(能) 용납할용(容) 만물물(物), 춘풍대아능용물(春風大雅能容物). 春과 風은 전에 다루었어요. 나머지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 ^

 

는 양 팔과 양 다리를 최대한 펼친 모습을 그린 거에요. 본래 '사람'을 의미했죠. 후에 '크다'라는 뜻으로 전용(轉用)됐어요. 양 팔과 양 다리를 최대한 펼친 모습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大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小(대소), 大學(대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까마귀의 일종인 갈까마귀[隹: 새추]를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다른 부분은 검은데 복부는 흰 까마귀지요. 지금은 갈까마귀를 '鴉'로 표기하고, '雅'는 주로 우아하다란 의미로 사용해요. 우아하다란 의미는 갈까마귀의 나는 모습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어금니아)는 음을 담당해요. 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優雅(우아), 雅趣(아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곰을 그린거에요. 지금은 곰을 熊(곰웅)으로 표기하죠. '능하다'란 의미는 '곰'이란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곰은 보기보다 영리하고 힘도 세지요. ^ ^  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能力(능력), 可能(가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면)과 谷(골짜기곡)의 합자에요. 집이 사람을, 골짜기가 사물을 수용하듯이 대상을 용납(容納: 수용하여 받아들임)한다는 의미에요. 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包容(포용), 容恕(용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容은 '얼굴'이란 뜻으로도 사용하지요. 얼굴이란 의미는 용납이란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모든 것은 얼굴에 나타나잖아요? ^ ^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본래 잡색(雜色)의 소[牛: 소우]라는 뜻이었다. 이것이 잡백(雜帛: 여러 색의 비단)이란 뜻으로 확장되었다가 만물의 의미로까지 확장됐다. 勿은 음을 담당한다. 둘: 처음부터 만물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만물 중 일상에서 보는 가장 큰 물체가 소[牛]이기에 이것으로 뜻을 삼은 것이다. 은 음을 담당한다. 둘 다 일리가 있죠? ^ ^ 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萬物(만물), 事物(사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큰대, 우아할아, 능할능, 용납할용, 만물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事(     ), 優(     ), (     )力, (     )恕,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春風大雅能容物

 

 

오늘은 요기까지~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