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세상에서 가장 의미있는 일을 알아 보도록 하죠. 오른쪽 사진이에요. 세간양건사경독(世間兩件事耕讀)이라고 읽어요. "세상에서 의미있는 두 가지 일은 농사와 독서라네"라고 풀이해요. 어때요? 짐작하셨던 내용인가요? ^ ^ 왕조시대 사군자(士君子)의 이상적인 생활 모습이지요. 그런데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마음 속에 그리는 이상적인 모습이 아닐까 싶네요. 삶의 굴레를 과감히 벗어 버리면 못할 바도 아니지만,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지요. ^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인간세(世) 사이간(間) 둘량(兩) 건건(件) 일사(事) 밭갈경(耕) 읽을독(讀).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세(世)는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햇살[日]이 들어오는 문[門: 문문] 틈 사이란 뜻이에요. 처음에는 閒으로 표기했어요. 閒으로 표기하면 달빛이 들어오는 문틈 사이란 의미가 되겠죠? 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間隔(간격), 間歇(간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牛(소우)의 합자에요. 사람들이 소를 구분하여 나눈다란 뜻이에요. 세는 단위인 '건'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件數(건수), 건건(件件) 등을 들수 있겠네요.

 

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旂(깃발기)의 약자와 冊(책책)의 약자와 又(手(손수)의 원형)의 합자로, 손으로 깃발을 잡거나 간책(簡冊)을 들고 기록하는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둘. 史(역사사)와 之(갈지)의 축약형이 결합된 글자로, 순리와 정도에 따라[之] 치우지지 않게 기록하는[史]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事件(사건), 事業(사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耒(쟁기뢰)와 井(우물정)의 합자에요. 쟁기를 가지고 정전(井田)의 토지를 갈아 엎는다는 뜻이에요. 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耕作(경작), 晝耕夜讀(주경야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言(말씀언)과 賣(팔매)의 합자에요. 물건을 판매할 때 고객을 끌기 위해 지속적으로 소리를 내듯이 계속 소리를 내어[言] 책을 읽는다는 의미에요. 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讀書(독서), 朗讀(낭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사이간, 건건, 일사, 밭갈경, 읽을독

 

2. (     )안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晝耕夜 (     ), (     )業, 朗 (     ), (     )數, (     )隔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世間兩件事耕讀

 

오늘은 요기까지.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