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이 글씨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어요. '음, 나도 이 정도는 쓰겠다. 이건 추사 선생이 썼다니까 잘 쓴 것처럼 느껴지는 거지, 이름 없는 사람이 썼다면 별 볼일(?) 없는 글씨로 취급되지 않을까?' 망령된 생각이죠? ^ ^ 유명한 사람과 일반 사람의 차이점은 후광 효과인 것 같아요. 별거 아닌 것도 유명인이 결부되면 빛을 발하잖아요? 평범한 사람은 그 반대이구요. ^ ^ 하여튼, 이 글씨를 보면서 이상하게 후광 효과를 생각했어요(추사 선생님, 죄송합니다~ ㅠㅠ).

 

오늘은 왼쪽 것만. 한 번 읽어 볼까요? 직성유궐하(直聲留闕下). "곧은 소리 대궐안에 머무네"라는 뜻이에요. 조정에 늘 올곧은 간언이 끊이지 않는다는 말이지요. 임금님은 괴로우시겠지만, 그래야 백성들이 편안할 수 있겠지요. 뜻과 음으로 하나씩 읽어 볼까요? 곧을직(直), 소리성(聲), 머무를류(留), 대궐궐(闕), 아래하(下), 직성유궐하(直聲留闕下).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直은 전에 다뤘으니 빼기로 하고요. ^ ^

 

은 耳(귀이)와 磬(경쇠경)의 약자가 합쳐진 거에요. 경쇠가 울릴 때 나는 것처럼 분명하고 확실하게 귀를 통해 들리는 그 무엇이란 뜻이에요. 그게 무엇이겠어요? 소리지요! ^ ^ 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音聲(음성), 聲量(성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농토[田: 밭전]에 가서 머무르며 농사를 짓는다는 의미에요. 卯는 음을 나타내는데 소리값이 좀 바뀌었죠(묘-->류). 留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滯留(체류), 拘留(구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대궐 문[門: 문문] 밖에 설치한 건물을 가리켜요. 중앙에 통로가 있고 그 위에는 망루가 있지요. 혹 광화문을 통해 경복궁에 들어가 보신 적이 있는지요? 문 앞쪽으로 타원형의 석축이 있고 그 위에 망루가 있지요. 타원형의 석축 가운데는 통로이구요. 이 통로를 지나 광화문 안으로 들어서지요. 광화문 밖의 이런 건축물을 궐(闕)이라고 해요. 이곳을 지나야 대궐에 들어설 수 있기 때문에 범칭 대궐이라는 뜻으로도 사용하다 후에 그 뜻으로 그냥 굳어졌죠. 欮은 음을 담당해요. 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렇죠, 宮闕(궁궐)! ^ ^ 大闕(대궐)도 있겠네요. ^ ^

 

는 지표면(一) 아래에 있다는 의미에요. 아래라는 표시는 丨 혹은 丶로 나타냈는데 후일 이 두 개가 합쳐진 형태로 표기하게 됐어요. 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地下(지하), 下待(하대, 낮게 여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소리성, 머무를류, 대궐궐, 아래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音 (      ), 宮 (      ), 地 (      ), 滯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하여 보시오.

  

    直聲留闕下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