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혁명군의 첫 번째 강령이에요. 도울보(輔) 나라국(國) 편안안(安) 백성민(民), 보국안민(輔國安民)이에요. 나라를 돕고 백성을 편안히 한다란 의미지요. 동학혁명군의 목적은 결코 정권의 교체가 아니었던 것이지요. 도탄에 빠진 민중의 삶을 구원하고 외세로부터 국가를 지켜내자는 소박한 기원을 내건 집단 저항이었던 것이지요. 어쩌면 이것이 동학혁명군의 실패 요인이었는지 모르겠어요. 만일 동학혁명군이 정권의 교체를 목표로 조직화된 투쟁을 벌였다면 우리의 역사는 말 그대로 혁.명.이 되지 않았을까요?

 

자, 한자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國은 전에 다뤘으니 빼도록 하죠. ^ ^

 

는 車(수레거)와 甫(씨보, '씨'란 남자의 미칭이에요.'~씨'는 상대편을 높여 부르는 말이잖아요^ ^)의 합자예요. 수레 바퀴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남자의 미칭처럼) 곧고 잘생긴 나무로 덧댄 설치물이란 뜻이에요. 이런것을 '바퀴덧방나무'라고 해요. '돕다'란 의미는 수레바퀴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보조장치란 뜻에서 연역된 것이죠. 輔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輔助(보조), 輔佐(보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결혼하지 않은 처자[女]가 규중 깊숙한 곳[宀: 집면]에서 한가히 거처한다란 의미예요. 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安定(안정), 安心(안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초목의 싹들이 무더기로 올라온 모습을 그린 거에요. 백성(민중)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백성(민중)을 흔히 민초(民草)라고 부르잖아요? 민초라는 말을 우리는 좋게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이 말은 지배자의 입장에서 부르는 명칭이기 때문에 백성(민중) 입장에서는 그리 좋은 용어는 아닌 것 같아요. 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民心(민심), 民主主義(민주주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도울보, 편안안, 백성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佐, (    )心, (    )主主義

 

3. 다음 시(노래)를 감상하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