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 좋아 하세요? 저는, 그닥... ^ ^;; 오늘은 과자 봉지에 나와 있는 한자를 한 번 알아 볼까요? 이 과자는 아는 분이 대만에 갖다 왔다며 선물로 준 과자에요. (요즘 대만에 우리나라 관광객이 그렇게 많이 온다네요.) 먹어 봤더니 제 입맛에는 그리 와닿지 않더군요. 사다 준 분한텐 미안하지만 ^ ^ 

 

자, 세로로 된 것은 오른 쪽부터 읽어야죠? 原은 근원원 味는 맛미, 原味는 '원미'라고 읽어요. 뜻은 '본래의 맛' 정도일 것 같군요. 鳳은 봉황봉 梨는 배나무리          는 연유수, 鳳梨         는 '봉리수'라고 읽어요. 중국어로는 '펑리수'라고 읽죠. 발음이 거의 유사하죠 ^ ^  의미는 '파인애플 유과(우유나 양유로 만든 과자)' 정도일 것 같군요.鳳梨가 파인애플이란 의미이고        가 우유나 양유로 만든 식료품이란 의미거든요.

 

잠깐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공부해 볼까요? 鳳梨        는 여기서 무슨 글자체로 쓴 것일까요? 해서체? 행서체? 예서체? 전서체? 초서체? 행서체에요 ^ ^

 

鳳梨          밑에 있는 두 글자 역시 행서체로 썼는데 해서체로 바꾸면 手信이 되죠. 모양에 큰 변화는 없죠? 手는 손수 信은 음신신(믿을신) 手信은 '수신'이라고 읽어요. 우리 말로는 '손으로 보내는 신호'란 의미인데, 중국에서는 '방문시 들고 가는 간단한 선물'이란 뜻으로 사용하죠.

 

오른쪽 도장 형태로 찍힌 글자를 볼까요? 이건 가로로 되있으니 오른쪽부터 읽어야 겠죠? 台는 臺의 약자(줄임 글자)로 돈대대(높고 평평한 장소)라고 읽어요. 灣은 물굽이만이라고 읽죠. 합쳐서 '대만'이라고 읽어요. 중국어로는 '타이완'이라고 읽고요. 名은 이름명 産은 낳을산. 합쳐서 명산이라고 읽어요. '이름난 생산품'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따라서 台灣名産은 '타이완의 유명한 생산품'이라는 의미이죠. 쉬운 것을 너무 어렵게 풀은 듯 ^ ^;; 

 

이제 한 글자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原은 厂(언덕한)과 泉(샘천)이 합쳐진 글자에요. 언덕 밑에서 샘물이 흘러 내리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본래 '수원지(물이 처음 나오는 지역)'란 의미였지요. 源과 서로 바꿔 쓰기도 하죠. 源도 근원원이라고 읽어요. 原이 들어가는 예로 原價(원가), 原理(원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味는 口(입구)와 未(아닐미)가 합쳐진 글자에요. 다섯 가지의 맛을 의미하는 글자인데, 맛은 입을 통하여 알게 되기에 口를 뜻부분으로 사용한 것이죠. 未는 단순히 소리값만 담당하고 있어요. 味가 들어가는 예로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調味料(조미료). 吟味(음미).

 

鳳은 봉황을 그린 것이에요. 수컷을 鳳, 암컷을 凰(황)이라고 불러요. 전설상의 새인 것은 다 아시죠? 우리나라의 國鳥(국조: 나라 새)이기도 하죠. 혹 봉황새의 생김새가 어떻게 생겼는지 아시는지요? 머리 부분은 기린의 모양이고(여기의 기린은 동물원에서 보는 그 기린이 아니에요. 이 역시 상상속의 동물이죠), 뒷 모습은 사슴의 모양이며, 목은 뱀, 꼬리는 물고기의 꼬리 모양이고, 등은 거북이 등에 용의 문양을 하고 있으며, 턱은 제비, 부리는 닭의 모양이고, 전체적으로 오색을 띄고 있어요. 신체 부분마다 좋은 특징을 갖고 있는 동물들을 결합시켜 놓은 형태라고 할 수 있죠. 왜 이 새가 우리나라의 국조가 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혹 이 새가 동방의 군자국에서 출현한다는 전설 때문에 정해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梨는 利(이로울리)와 木이 합쳐진 글자에요. 배(나무)라는 의미는 木에서 담당하고, 음인 리는 利에서 담당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요. 이 글자가 들어간 한자는 뭐가 있을까요? 梨花(이화).

 

         는 酉(술유)와 禾가 결합된 것인데 酉는 뜻 부분을 담당하고 禾는 蘇(깨어날소)의 약자로 음을 담당해요(소리값이 약간 변했죠). 연유는 우유나 양유를 끓여서 얻는 것인데, 모양새가 탁주와 흡사하여 酉로 뜻을 삼은 것이지요.

 

手는 손바닥과 다섯 손가락을 그린 것이지요. 手가 들어간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拍手(박수), 握手(악수).

 

信은 亻과 言(말씀언)이 결합된 것이지요. 말은 마음의 소리죠. 마음의 소리인 말이 진실되야 타인의 마음을 얻을 수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이 글자의 본래 의미는 '정성'이라는 뜻이었어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 글자의 뜻 '믿다'라는 의미는 정성이란 의미에서 파생된 것이죠. 정성스럽다는 것은 자신과 타인을 속이지 않는 것이고, 속이지 않기에 믿을만하다는 의미이죠. 信이 들어간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信用(신용), 信義(신의).

 

台는 臺의 약자라고 했죠. 臺는 돈대를 의미한다고 했죠. 이 글자는 之(갈지)와 高(높을고)와 至(이를지)가 결합된 형태인데 돈대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에요. 돈대란 위로 올라가게[之] 높이 쌓아 올려[高] 그곳에 머물러 있을 수[至] 있게 만든 장소란 의미지요. 臺가 들어간 것의 예로는 舞臺(무대)를 들 수 있겠네요.

 

灣은 水와 彎(굽을만)이 결합된 것으로 말 그대로 물이 굽이치는 곳이란 뜻이지요.

 

名은 夕(저녁석)과 口(입구)가 합쳐진 것이지요. 저녁이 되면 어두워져서 상대방을 확인하기 어렵지요. 이때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해 부르는[口] 것이 바로 이름이지요. 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名譽(명예), 呼名(호명).

 

産은  뜻 부분인 生(날생)과 음 부분인 彦(선비언)이 결합된 것이지요. 말 그대로 낳는다는 의미이고, 음 부부인 彦은 彡이 생략된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소리값도 약간 변했지요. 産이 들어간 예는 뭐가 있을까요? 出産(출산), 原産地(원산지).

 

자,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근원원, 맛미, 봉황봉, 배리, 연유수, 손수, 믿을신, 돈대대, 물굽이만, 이름명, 낳을산

 

2. 다음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呼(     ), (     )用, (     )花,  調(     )料,  舞(      ), 出(      ),  (     )價,  (     )凰,  拍(     )

 

3. 다음 한자를 집어 넣어 짧은 글을 지으시오.

 

    台灣, 名産

 

 

한때 '과자의 공포'라는 영상물이 충격을 줬던 적이 있죠. 그걸 보면 도저히 과자를 입에 넣지 못하겠더라구요. 꼭 그 때문만은 아니지만, 전 과자를 입에 넣을 때 느끼는 역한 조미료 냄새가 싫어서 과자를 잘 안먹어요. 어쩌면 싼 과자만 먹어서 그런지도 모르지요 ^ ^  그나저나 선물로 받은 대만명산 鳳梨         는 어떻게 해야 할지...(행복한 고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