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지명을 갖는 곳이 종종 있다. 내가 사는 지역(서태안)의 한 지명이 다른 곳에도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됐다. 모항. 모항은 전북 부안에도 있었다. 한자 표기도 동일하다. 茅項. 茅는 띠 모, 項은 목덜미 항이다. 그런데 두 지명에 대한 설명이 약간 상이하다.


부안의 모항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띠가 많이 자라는 곳이라 하여 띠 모(茅) 자, 배가 지나가는 목이라 하여 목 항(項) 자를 써서 ‘모항’이라 하였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태안의 모항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모(茅)는 불모지(不毛地)를, 항(項)은 물을 건너가는 곳을 일컫는 말"이다. (출처: 모항항 입간판, 위 사진)


어느 것이 적절한 설명일까? 부안의 설명이 적절한 것 같고, 태안의 설명은 틀린 것은 아니지만 다소 지나치게 의역된 설명 같다.


식자우환이라고, 한 자 몇 자 알다 보니, 가끔씩 한자가 들어간 간판에 딴지를 걸고 싶은 때가 있다. 모항항에서 본 입간판이 그랬다. 


그나저나 전에는 '모항'의 의미를 알지 못했는데, 한자 표기가 수반된 입간판을 통해 그 의미를 알게 됐다. 모항의 의미를 알고 모항을 대하니 모항이 전과 다르게 느껴졌다. 왠지 더 쓸쓸한 느낌이 들었다고나 할까? 


지명의 의미를 알고 모르고는 그 지역을 대했을 때 갖는 생각과 느낌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의미가 사라진 채 단지 표식으로만 사용된 한글 지명 표기에서는 별다른 감흥이 생기지 않는다. 설혹 생긴다해도 그릇된 생각과 느낌일 가능성이 크다. 지명에는 역사와 문화가 서려있는데 그것을 알 길 없게 만드는 한글 전용 지명 표기들은 재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런 점에서 모항항의 설명 입간판은 아쉬운 점이 있긴 하나 모항의 의미를 전달해줬다는 점에서는 칭찬받을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