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바람 불어 구름 날리네 大風起兮雲飛揚

해내에 위엄 떨치고 고향에 왔어라 威加海內兮歸故鄉

어찌하면 용사 얻어 천하를 편안케 할꼬 安得猛士兮守四方



한나라를 세운 유방의 대풍가. 천하 통일 후 고향인 패현을 들렀을 때 불렀단다. 제왕의 기상이 잘 드러나 있다. 대풍가가 전주 한옥마을 오목정(梧木亭)에 편액으로 걸려있다(사진). 이성계가 왜적 소탕으로 명성을 날릴 때 고향인 전주에 들렸다가 이 노래를 불렀는데,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그 노래를 불렀다는 장소에 오목정을 짓고 시 편액을 걸어 놓았다고. 당시 이성계 옆에 정몽주가 종사관으로 있었는데 이성계의 이 노래를 듣고 불쾌해서 자리를 떴단다. 노래에 제왕의 기상이 들어 있으니, 후일 단심가를 불렀던 정몽주에겐 듣기 거북한 노래였을 법하기도 하다.


시참(詩讖)’이라는 게 있다. 시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앞일을 드러낸다는 것인데, 흔히 드는 예가 율곡의 화석정이다. 10세 전에 이 시를 지었는데, 마지막 구절에 성단모운중(聲斷暮雲中, 기러기 울음소리 저무는 구름 속에서 끊어지네)’이 있다. 그런데 이 구절의 이 단명할 운명을 암시했다는 것. 율곡은 48세에 돌아갔다(글쎄, 48세가 꼭 단명이라고 해야 할지는 잘 모르겠다. 하여간...). 호사가의 믿거나 말거나 얘기지만, 그의 단명과 관련지으면 그럴듯한 얘기가 된다. 어쩌면 이성계도 단순한 공명심에 저 노래를 부른 것이지만 알게 모르게 후일 왕이 될 자신의 운명을 자신도 모르게 드러낸 것은 아닐런지?


시참같은 고상한 말을 들먹이지 않아도 언어에 주술성이 있다는 것은 옛날부터 체험적으로 인식됐던 것 같다. 비근한 예로 속담 말이 씨가 된다를 들 수 있을 듯. 체험적으로 인식된 것은 그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해도 왠지 신뢰가 간다. 말과 글이 넘쳐나는 시대, 한 번쯤은 자기 쏜 말과 글의 화살이 어느 과녘으로 향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비록 쏜 화살이기에 되돌릴 수는 없다 해도. 그래야 조금은 좋은 운명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