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비애감을 느껴!”
동료 교사 한 사람이 한숨을 쉬며 말했다. 중간고사가 끝난 후 점수 확인을 하는데, 서답형 채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인상을 써가며 대들 듯이 채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만성화된 현상이건만 동료 교사는 아직도 적응이 안되는 것 같았다. 비슷한 나이라서 그럴까, 나도 동조했다. “맞아! 정내미가 뚝뚝 떨어지지.”
채점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잘못됐다는 말이 아니다. 문제는 그 제기하는 태도이다. 채점이 잘못된 듯한 상황이 되면 순간 학생이 아닌 불만 가득한 고객으로 돌변한다. 인상을 찌푸리며 목소리 톤을 높인다.
학생만 탓할 현실이 아니란 걸 모르지 않는다. 내신으로 진학을 하니 성적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이건 좀 아닌 것 같다. 불만 가득한 고객이라도 지켜야 할 예절이 있는 법이다. 더구나 고객 이전에 배우는 처지에 있는 학생 아닌가.
그러나 공염불이다. 교육 현장은 점점 더 이전투구의 시장판이 돼가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비애감이 느껴지고 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이런 생각이 든다. 학생들은 뭘 배우고 교사들은 뭘 가르치는 걸까?
사진의 한자는, 탕화쿵푸(汤火功夫)라고 표기돼있는데, 앞부분[汤火]은 우리 발음으로 표기했고, 뒷부분[功夫]는 중국어 발음으로 표기했다. 우리 발음으로만 표기한다면‘탕화공부’라고 해야 하고, 중국어 발음으로만 표기한다면 ‘탕후어쿵푸’라고 해야 한다. ‘탕후어’는 낯설고 ‘쿵푸’는 익숙하기에 반반 섞어서 표기한 듯하다. ‘뜨거운 물과 불로 공들여 만들어 낸 요리’정도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쿵푸(功夫)’라는 단어이다. 학생들이 지겨울 정도로 많이 듣는‘공부(工夫)’라는 단어의 중국어 발음도 이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는 발음이 동일하면 뜻도 상통해서 쓰기에 공부는 곧 쿵푸라고 할 수 있다.
알다시피 쿵푸는 단순히 머릿속으로 이해하고 암기하는 지식의 습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공을 들여 익히는 몸의 단련을 의미한다. 아울러 쿵푸를 익힐 적에는 혼자 수련을 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스승에게서 지도를 받는다. 스승은 몸의 단련을 완성한 사람이기 때문에 권위를 갖는다.
이는 곧 공부와도 상통한다. 공부란 본디 성정(性情)을 조절하고 인격을 쌓는 몸의 단련을 의미한다. 지식의 습득이란 이를 위한 수단일 뿐이다. 공부 역시 혼자 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스승에게서 지도를 받는다. 스승은 성정을 조절하고 인격을 쌓은 사람이기 때문에 권위를 갖는다.
목하(目下) 교육 현장이 시장판처럼 된 것은 공부의 본질을 망각하거나 곡해한 데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지식의 습득과 평가는 공부의 본질이 아니고 수단일 뿐인데, 지금은 수단이 본질인 것처럼 취급되고 있다. 그러니 교육 현장이 시장판처럼 될 수밖에 없다. 학생들은 공부한다고 하지만 공부하지 않고 있고, 교사들은 공부시킨다고 하지만 제대로 공부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교육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침소봉대한 지나친 평가일까?
汤과 功이 낯설어 보인다. 자세히 살펴보자.
汤은 湯의 간체자이다. 湯은 氵(水의 변형, 물 수)와 昜(볕 양)의 합자이다. 햇볕을 쬐면 뜨겁듯이 그처럼 온도가 높은 물이란 의미이다. 끓인 물 탕. 湯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溫湯(온탕), 沐浴湯(목욕탕) 등을 들 수 있겠다.
功은 工(장인 공, 본래 자[尺]를 그린 것으로 규준이나 법도의 의미를 내포)과 力(힘 력)의 합자로, 국가가 요구하는 일정한 규준과 법도에 맞게 세운 업적이란 의미이다. 공 공. 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功績(공적), 成功(성공) 등을 들 수 있겠다.
인성교육진흥법이란 것이 제정되어 학교 현장에서 의무적으로 인성 교육을 하게 되어 있다. 취지는 이해되나 교과와 인성 교육을 유리(遊離)시키고 별도로 인성 교육을 하라는 것은 옥상옥(屋上屋)이란 생각이 든다. 그런 법의 제정없이 일상의 교과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인성 교육이 강화돼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점점 시장화되는 교육 현장에서 과연 그런 교육이 가능할지 의문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