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間(인간, 사림인 사이간),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말이다. 사람은 사람 속에 있을 때 사람답게 살 수 있다. 영웅이라도 예외가 없다.


강감찬(姜邯贊, 947~1031), 동북아의 강자로 떠오른 거란의 2, 3차 침입을 막아내 누란의 위기에 있던 고려를 구한 영웅이다. 다양한 민간 설화가 만들어질만큼 민중의 사랑을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그가 외로움에 시달렸다면 믿을 사람이 있을까?


사진(서울 관악구 강감찬 장군의 생가터인 낙성대에 전시된 영인본)은 강감찬 장군의 시이다. 활달한 필체가 돋보여 장군의 기상이 어떠했을지를 가늠케 한다. 필체만 보면 도무지 외로움이라곤 모를 사람같다. 그런데 겉으로 보이는 활달함과 달리 내용은 너무도 쓸쓸하다.


孤鶴寵衛軒 고학총위헌   외로운 학은 위의공의 총애를 받았고

雙鴦入毛論 쌍앙입모론   원앙 한쌍은 모공의 지우를 입었지

秋風無限恨 추풍무한한   스산한 가을 바람 한없는 아쉬움은

不能共一尊 불능공일준   술 한잔 함께 할 이 아무도 없는 것


혼자 있든 둘이 있든 새[鳥]조차 아껴주는 사람이 있는데, 정작 사람인 자신은 아껴주는 이가 하나도 없어 외롭다고 말했다. "술 한잔 함께 할 이"란 그를 아껴줄 사람을 말한다. 그럴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 얼마나 외롭겠는가. 화려한 찬사가 넘칠수록 외로움은 더 깊어갔을 터이다. 영웅은 人間이고 싶었던 것이다.


장군의 추모(醜貌)는 익히 알려져있다. 체구도 작았다고 한다. 민간 설화에 의하면 얼굴에 마마 자국이 있고 "사람도 아니고 귀신도 아닌" 형상이었다고 한다. 과장은 있겠지만 추모였던 건 확실해 보인다. 혹 이런 추모가 그를 사람들 사이에서 멀어지게 한 요인은 아니었을까? 보기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외양과 내면은 대개 일치한다. 물론 불일치하여 실망감을 안겨주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놀라움을 안겨주는 경우 또한 있다. 장군은 후자쪽이었을 것이다. 그래도 역시 추모는 사람들 사이에선 비호감이다. 많은 이들이 그의 뛰어난 능력에 감탄을 금치 못하면서도 추모 탓에 가까이하지 않았기에, 장군은 외로움에 시달렸던 것 아닐까 싶다.


성형 수술에 대해 오랫동안 거부감을 가져왔다. 타고난 천품대로 사는 것이 좋다고 본 것. 그런데 장군의 시를 읽고 생각이 약간 바뀌었다. 오죽 사람 속에 있고 싶으면 성형 수술을 할까 싶은 것. 외로움을 떨치고 人間이고 싶어 몸부림치는 그 행동을 굳이 색안경을 쓰고 볼 필요가 있을까, 싶은 것이다. 장군도 기꺼이 동의하실 것 같다.


시 한편을 가지고 장군에 대해 무리한 해석을 했다. 관련 자료를 읽어본 바 없기에 필시 오류가 있을 터이다. 읽는 분들의 양찰(諒察)을 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