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융의 시. 사진 출처: http://blog.daum.net/air3308/3865352>

 


글쎄? 거기가

 

관광지에 가서 자신이 알고 있는 맛집을 현지 주민에게 물어보면 의외의 답을 듣는 경우가 있다. 거기가 맛집 맞나 하는 표정을 짓거나 심지어 장소조차 잘 모르는 경우가 있는 것. 관광객들에게 맛집으로 알려진 곳이 현지 주민에게는 그다지 맛집이 아닌 경우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고장의 맛집은 어디가 진정한 맛집일까? 관광객에게 알려진 맛집일까? 현지 주민이 잘 아는 맛집일까?

 

진주 촉석루. 논개의 장렬한 최후 장소로 익히 알려진 곳이다. 관광객에게 이곳은 의기(義妓)의 애국 향취가 묻어나는 곳이다. 촉석루에 오르기 전 이곳의 논개 사당을 먼저 찾는 것도 그런 이유이다. 하지만 촉석루는 본래 전망 좋은 연회 장소였다. 이것이 촉석루의 본모습이다. 논개도 왜장(倭將)들과의 연회에서 그 장렬한 섬광을 발하지 않았던가. 촉석루를 의기의 장렬한 최후 장소로 생각하는 것은 관광객이 찾는 맛집과 같은 경우이고, 연회 혹은 경관 좋은 전망소로 생각하는 것은 현지 주민이 찾는 맛집과 같은 경우라 할 만한다.

 

사진은 촉석루에 걸린 편액들 중의 하나로 조선 세종 때 사람인 우당(憂堂) 박융(朴融, ?~1428)의 시이다.

 


晋山形勝冠南區 진산형승관남구 진주의 경치는 남녘 제일

況復臨江有此樓 황부임강유차루 여기에 있는 촉석루라니

列峀層巖成活畵 열수층암성활화 즐비한 산봉우리 층층의 기암괴석 살아 숨 쉬는 그림 같고

茂林修竹傍淸流 무림수죽방청류 맑은 물 흐르는 곳엔 무성한 숲과 청청한 대나무

靑嵐髣髴屛間起 청람방불병간기 아스라한 푸른 기운 병풍에서 흘러나와 숨을 쉬는 듯

白鳥依稀鏡裏浮 백조의희경리부 백조 또한 거울 위에 떠있는 듯

已識地靈生俊傑 이식지령생준걸 인걸은 지령이라 내 이미 알거니

盛朝相繼薛居州 성조상계설거주 아름다운 선비들 이 땅에서 나올 수밖에

 


촉석루의 아름다운 풍치를 그렸다. 흔히 아름다운 것을 볼 때 '그림 같다'라고 말하는데 이 시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살아 숨 쉬는 그림'같다고 말했다. 최상의 감탄사를 사용한 것이다. 시 마지막에 아름다운 선비의 연이은 출현이란 말로 또 한 번 이곳의 승경(勝景)을 찬미했다. 예로부터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고 좋은 땅에서여기서는 촉석루가 있는 진주일 것이다 훌륭한 인물이 나온다고 믿었다. '인걸 지령'으로 승경을 한 번 더 강화해 찬미한 것이다.

 

이 시는 촉석루가 뛰어난 경관을 가진 연회에 좋은 장소임을 여실히 그린 작품이다. 사실 이 시의 내용이 촉석루의 진면목일 것이다. 여기서 논개를 기억하는 것도 아름답지만 본래의 모습, 즉 승경만 감상하는 것도 그만 못지않다고 생각한다. 이곳의 편액들을 조사해본 적은 없지만 논개의 의사(義死) 이후로 이곳의 편액 내용은 양분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논개의 의사 이전 시는 승경에만 중점을, 논개의 의사 이후 시는 논개의 향취에 중점을 두었을 것 같다. 이 시는 논개의 의사 이전 시이다. 순수한 승경 감상에만 치중한 것. 현지인이 즐겨 찾는 맛집 같은 시라고 할 수 있겠다.

 

 

      <진주 촉석루. 사진 출처: http://www.jinju.go.kr/main.web>

 

 

낯선 자를 몇 자 자세히 살펴보자.

 

(뫼 산)(단지 유)의 합자이다. 주변이 높고 가운데가 움푹한 단지처럼 산의 중앙에 생긴 동굴이란 의미이다. 산굴 수. 산봉우리란 뜻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이다. 산굴 수.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峀居(수거, 산 동굴에서 삶), 峀雲(수운, 산의 암굴에서 일어나는 구름) 등을 들 수 있겠다.

 

(사람 인)(두루 방)의 합자이다. 이 사람과 저 사람 간의 간격이 멀지 않다란 의미이다. 곁 방.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傍觀(방관), 傍點(방점) 등을 들 수 있겠다.

 

(뫼 산)(바람 풍)의 합자이다. 산바람이란 뜻이다. 남기(저녁나절에 멀리 보이는 산 같은데 떠오르는 푸르스름하고 흐릿한 기운)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이다. 남기 람.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嵐影湖光(남영호광, 산의 그림자와 호수의 빛깔이란 뜻으로, 산수의 풍광을 이름), 嵐光(남광, 남기가 떠올라 해에 비치는 경치) 등을 들 수 있겠다.

 

(벼 화)(드물 희)의 합자이다. 모를 뜨문뜨문 심었다는 의미이다. 의미를 압축하여 '드물다란' 의미로 사용한다. 드물 희.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稀少(희소), 稀微(희미) 등을 들 수 있겠다.

 

은 쑥이란 뜻이다. (풀 초)로 뜻을 표현했고, 나머지는 음을 담당한다. 주로 사람의 성씨로 많이 사용한다. 쑥 설.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薛濤(설도, 당나라 중기의 유명 여류 시인), 薛誓幢(설서당, 원효 대사의 출가 전 성명) 등을 들 수 있겠다.

 


여담. 위에서 이 시를 촉석루의 풍치 잘 그린 것처럼 말했지만, 사실 이 시가 사용하고 있는 수사(修辭)는 좀 진부하다. 이런 풍경 묘사는 어느 승경에도 어울릴법한 진부한 표현인 것. 촉석루만이 가지는 좀 더 산뜻한 풍경 묘사가 없는 점이 아쉽다. 여기에 설거주라는 인명― 『맹자에 나오는 인물로, () 나라의 훌륭한 선비로 명망이 높았다 을 직접 사용한 것도 그리 좋은 표현법은 아니다. 불만 많은 시를 굳이 글감으로 사용한 것은 순전히 이 편액의 글씨 때문이었다. 내용을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을 촉석루에 어울리는 글씨라는 느낌이 든 것(박융이 직접 쓴 것인지, 후인이 쓴 것인지는 모르겠다). 코로나19 때문에 일상이 더없이 답답하다. 코로나19에서 해금되면 이곳을 찾아 울울했던 마음을 풀어버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