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이 많이 걸리는 암이 뭔지 아나?”

   

글쎄요?”

   

그럼, 부유한 사람이 많이 걸리는 암은 뭔지 아나?”

   

   

오랜만에 만난 선배와 식사를 하는데, 선배가 뜬금없이 물었어요. 선배는 수년 전 대장암 수술을 받았어요. 이후 직장을 나와 조그만 개인 사업을 하며 지내는데, 침술과 민간 치료에 관심이 많아요. 질문도 그런 관심에서 얻은 자료를 가지고 물은 듯해요. 대답을 못하니, 선배가 답을 알려 줬어요. “가난한 사람이 많이 걸리는 암은 위암이고, 부유한 사람이 많이 걸리는 암은 폐암일세.”

   

위암 발병률이 식습관 맵고 짠 음식을 많이 먹고 또 급하게 먹는 과 관련이 많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죠. 그런데 선배의 말은 그것이 경제적 지위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 거였어요.

   

선배의 말을 되새겨보니 어렵지 않게 수긍이 가더군요. 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마음이 조급하고 마음이 조급하니 음식 맛을 음미할 여유가 없고 음식 맛을 음미할 여유가 없으니 음식을 빠르게 먹게 되고 그때의 음식은 아무래도 심심한 것보다는 자극적인 음식이 주가 될 수밖에 없지 않나 싶은 거죠. 그리고 그것의 결과는. “마음이 없으면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대학의 말은 빈곤 계층의 식습관을 대변하는 말로도 해석할 수 있을 듯싶어요. (물론 경제적 여유가 있어도 조급하고, 빈곤해도 조급하지 않은 이들도 있을 거예요. 여기서는 일반적인 경향을 언급했어요.)

   

사진은 진미(眞味)’라고 읽어요. ‘참된 맛이란 뜻이죠. 그냥 이라 해도 될 것을 이란 말을 덧붙인 것은 거짓 맛이 많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일 테고, 자신들이 만든 음식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강조한 걸 거예요. 보태어 이 음식물의 맛을 제대로 알려면 급히 먹지 말고 천천히 먹어야 한다는 메시지도 담겨있다고 보여요. 급하게 먹는 음식에서 맛을 음미하기란 쉽지 않잖아요? 천천히 먹어 참맛을 알 때 진정으로 그 음식을 먹는 것이고, 이는 병을 예방하는 지름길이기도 한 것 같아요. 오징어 채 봉투에서 찍은 사진이에요.

   

한자의 뜻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의 변형, 화할 화)(눈 목)과 ㄴ(의 옛 글자, 숨을 은)(기초의 의미로 쓴 글자)의 합자예요. 눈에 보이는 기본적인 모습을 변화시켜 하늘로 숨어버린 사람이란 의미예요. 신선이란 의미예요. 신선을 진인(眞人)이라고도 하지요, 주로 참되다란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는 본뜻에서 연역 된 의미예요. 육신의 거짓된 모습을 벗어 버려야 참된 사람[신선, 진인]이 된다는 의미로요. 참 진.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眞珠(진주), 眞善美(진선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입 구)(아닐 미)의 합자예요. 입을 통해 느끼는 맛이란 의미예요. 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는 음을 담당해요. 맛 미.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調味(조미), 吟味(음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경제적 위치에 따라 식습관도 달라지고 이에 따라 특정 질병의 발병률도 관계가 깊다는 것을 염두에 둘 때 일하는 분들에게  식사를 위한 적정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 같아요. 더불어 일하는 분들도 자발적으로 '천천히 식사하기' 습관을 들여야 할 것 같고요. 적정 식사 시간이 확보된다해도 '천천히 식사하기' 습관이 돼있지 않으면 '후딱' 먹어치우고 담배 피우기나 커피 마시기 혹은 밀린 일 하기 등으로 시간을 흘려(?) 보낼 것 같거든요. 이렇게 되면 식사를 위한 적정 시간 확보가 무의미하지 않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