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도서기(東道西器).

  

전통 지식인들이 끊임없이 밀려오는 서구 문물을 대하며 '어떻게 전통적 가치를 지켜야 할 것인가' 라는 고민 끝에 내놓은 처방이죠. 그래, 문명의 이기(利器)는 서구 것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정신은 우리 것을 고수하겠다! 그러나 이는 전통적 가치를 전통 지식인들 스스로가 망각한 주장이에요. 전통 지식인은 성속(聖俗)이 불이(不二)이고 생사(生死)가 불이(不二)라는 가치관에 익숙하죠. 그렇다면 문명의 이기와 그 속에 함유된 정신도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인정해야 하죠. 따라서 문명의 이기를 받아들이는 순간 그 속에 함유된 정신도 함께 받아들일 수밖에 없죠. 동도서기는 이를 분리시키자는 주장이니, 전통적 가치를 망각한 주장이에요. 서구 문명에 대한 저항 의식이 만들어낸 공허한 구호이죠.

  

습기가 많은 이즈음, 건조기를 사용하는 가정들이 많죠. 저희도 이따금 건조기를 사용하는데, 이점이 많아요. 눅눅한 불쾌감과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점이에요. 하지만 이런 이점을 누리는 만큼 반대급부도 있을 거예요. 전기를 더 써야 하고 그만큼 발전기도 더 가동시켜야 하고 이에 따른 환경오염도 증가 될 테고. 굳이 인연(因緣)이란 불교 덕목을 들먹이지 않아도 편리함의 부정적 대가는 분명히 뒤따르겠죠.

  

이런, 방향이 곁으로 샜네요.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것이 아니고, 건조기 사용과 관련된 우리의 마음이에요. 앞서 문명의 이기와 그 이기에 담긴 마음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했어요. 문명의 이기를 받아들이는 순간 마음도 그에 따라 변화한다고 했죠. 건조기는 물기라는 불편함을 견딜 수 없는 마음에서 만들어진 거예요. 따라서 이 이기를 사용하는 순간 우리의 마음도 그와 같이 변할 수밖에 없어요. 불편을 감수하는 인내력이 저하되는 거죠. 사실 수많은 문명의 이기는 대부분 불편함을 견딜 수 없는 마음에서 만들어진 것이죠.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는 순간 인내력은 저하될 수밖에 없어요.

  

문제는 인내력이 저하되면서 개인이 가진 정서나 사람간의 관계도 점점 삭막해져 간다는 점이에요. 나이가 많든 적든 과거와 현재 자신의 모습과 주변의 모습을 살펴보면 이 말을 실감할 거예요. 갈수록 문명의 이기 사용은 늘어날 것이고 개인이 가진 정서나 사람간의 관계도 이에 따라 더욱 건조해질 거예요

  

개인이 가진 정서나 사람간의 관계가 삭막해져 가는 것이 좋은지 나쁜지는 쉽게 판단하기 어려워요. 건조기를 돌려 쾌적감을 취한 대신 반대급부의 부정적 영향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 꼭 나쁘다고만 평가하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죠. 문명의 이기도 편하게 사용하고 물기 있는 정서도 유지하면 좋겠지만, 그건 어려운 일 아닐까 싶어요.

  

사진은 극도건조(極度乾燥)라고 읽어요. 설명은 굳이 필요 없겠죠? 영국의 다국적 의류회사인 ‘Super dry’를 한역(漢譯)한 거예요. 일본에서 번역했더군요. 한국에도 진출한 적이 있는데 재미를 못 봐 철수했고, 일본에서는 성공했다고 해요. 한역된 상호를 보며 왠지 우리 시대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상호 같아 견강부회한 생각을 풀어 봤어요.

  

한자의 뜻과 음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나무 목)(빠를 극)의 합자예요. 용마루란 의미예요. 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다하다란 의미로 많이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용마루는 최정상부에 사용되는 목재거든요. 은 음을 담당해요. 용마루(다할) .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窮極(궁극), 太極(태극)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의 변형, 손 수)(무리 서) 약자의 합자예요. 뭇 사람들을 통제하는 일정한 규준이란 의미예요. 뭇 사람이란 의미는 의 약자로, 규준이란 의미는 로 표현했어요. 과거에 손은 장단(長短)을 재는 기준이었기에 규준이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법도(정도) .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法度(법도), 程度(정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어두운 곳에 햇살이 비치듯 생명이 없을 듯한 두껍고 딱딱한 땅에서 새싹이 돋아난다는 의미예요. 은 땅을 뚫고 힘겹게 올라오는 싹의 모습을, 나머지는 햇살이 비치는 모습을 표현한 거예요. 하늘이란 뜻과 마르다란 뜻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새싹이 지향하는 곳이 하늘이라 하늘이란 뜻으로, 새싹이 햇빛에 바짝 말랐다는 뜻에서 마르다란 의미로 사용하게 된 것이죠. 하늘(마를) .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乾坤(건곤), 乾魚物(건어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불 화)(떠들썩할 조) 약자의 합자예요. 말리다란 의미예요. 로 뜻을 표현했어요. 의 약자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날것[]을 말릴 때는 떠드는 소리처럼 다양한 소리가 난다는 의미로요. 말릴(마를) .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焦燥(초조), 燥濕(조습, 마름과 습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사람의 몸은 70%가 물이라고 하죠. 나이가 들수록 물기가 빠져 나가 대부분 마른 체형을 보이죠. 문제는 마른 체형처럼 마음도 메말라간다는 거예요. 노년에 경계해야 할 것 중의 하나가 금전에 대한 욕심인데, 메마른 마음을 메꾸려는 보상 심리에서 비롯된 것이죠. 그런데 이는 아주 자연스런 현상이에요. 몸에 물기가 없는데 마음에 물기가 고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니까요. 문명의 이기를 사용할수록 정서와 사람 관계가 건조해지는 것과 매한가지죠. 그러나 우리는 사람이기에 이를 조절할 수 있어요. 노년이 될수록 관대해지는 사람도 있잖아요? 나이 칠십에 아무렇게나 행동해도 법도에 들어맞았다고 하는 공자가 그 한 실례죠. 하지만 이것이 보편적인 모습은 아니죠. 이런 점에서 보면,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면서 인정도 물기를 유지하는 것은 역시 쉽지 않은 일인 것 같아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