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뚝뚝한 오빠가 중간에 택시를 세우고 울었다더니, 이제야 그 심정 이해가 돼."


형님은 막내 아들을 사고사로 잃었어요. 비통한 마음을 가감없이 드러내는 형수님과 달리 형님은 별다른 내색을 하지 않으셨어요. 너무 냉정하다고 생각했지만, 결코 그런 것이 아니었어요. 마음 속에 담아 두고 슬픔을 곱씹고 계셨던 거예요. 조카의 사고사는 벌써 십수년 전 일인데, 새삼 형님의 슬픔을 알게 된 건 막내 누님과의 통화를 통해서였어요. 막내 누님도 최근 큰 아들이 사고로 손가락 두 개를 잃는 아픔을 겪었는데, 본인이 직접 그런 아픔을 겪고 나니 사고사로 막내 아들을 잃었던 오빠의 심정이 절절히 이해되더라며 저 말을 하셨어요. 어쩌면 형수님보다 형님의 마음이 더 아팠을지도 모르겠어요. 표현되는 슬픔보다 표현되지 않는 슬픔이 더 슬플 수 있으니까요.


사진의 시는 명말청초(明末淸初)의 서화가인 왕탁(王鐸, 1592-1652)의 춘석(春夕, 봄 저녁)이란 시예요. 시를 읽다보니, 특히 말미에서, 시인이 느꼈을 심정이 바로 형님께서 보였던 슬픔의 모습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싶어 잠시 이야기를 해봤어요. 시를 읽어 볼까요?


水流花謝兩無情  수류화사양무정    흐르는 물 지는 꽃 둘 다 무정하여라

送盡東風過楚城  송진동풍과초성    모두가 봄 바람 초성(楚城)을 넘는 것 전송하네

胡蝶夢中家萬里  호접몽중가만리    꿈 속에 나비 되어 고향에 가렸더니 머나먼 만리 길

子規枝上月三更  자규지상월삼경    자귀도 이 마음 아는지 한 밤내 우는구나

故園書動經年絶  고원서동경년절    이제는 고향 소식도 드문데

華髮春唯滿鏡生  화발춘유만경생    이 봄엔 백발만 머리 한가득

自是不歸歸便得  자시불귀귀변득    스스로 돌아가지 않을 뿐 뜻만 있으면 갈 수 있나니

五湖煙景有誰爭  오호연경유수쟁    안개 낀 오호(五湖) 경치 그 누가 알단 말가


허무하게 지나가는 봄을 지는 꽃과 그 꽃잎을 싣고 흘러가는 물을 향해 애꿎게 타박했어요. 왜 가는 봄을 붙잡지 않고 전송만 했냐고. 시인이 지나가는 봄을 애달파 하는 것은 고향에 가지 못하는 신세이기 때문이에요. 고향은 낮이나 밤이나 자나 깨나 가고 싶은 곳. 그러나 그 고향은 꿈 속에서도 가기 힘든 머나먼 곳. 그저 그립기만 할 뿐이죠. 한 밤중 고향 생각에 잠 못 이루고 뒤척일 때 들려오는 두견새 소리는 시인의 마음을 대변한 것만 같아 더 구슬프게 들려요. 고향 소식이라도 자주 접하면 쓸쓸한 마음이 덜하련만 이제는 고향 소식도 뜸해요. 이런 상황에서 맞이하는 저문 봄. 마음은 까맣게 타고 머리엔 흰 이슬만 가득해요.


이런 상황이면 시인의 눈엔 눈물이 마음엔 서글픔이 가득하련만, 시인은 뜻밖의 말을 하고 있어요. "스스로 돌아가지 않을 뿐 뜻만 있으면 갈 수 있나니." 그리고 자신의 고향 자랑으로 시를 매듭지었어요. "안개 낀 오호 경치 그 누가 알단 말가." 시의 마지막 두 구는 시인의 허장성세(虛張聲勢)예요. 애써 허세를 부리며 귀향의 간절함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지요. 마치 형님이 자식 잃은 슬픔을 가슴 속에 묻고 겉으론 무심한 듯 보였던 것 처럼요. 그러나 형님이 남모르는 곳에서 울었듯, 시인 역시 저 말 끝에 자신도 모르게 되돌아 눈물을 흘렸을 거예요.


낯선 한자를 두 어자 자세히 살펴 볼까요?


盡은 皿(그릇 명)과 燼(탄나머지 진) 약자의 합자예요. 타고나면 남는 것이 없듯이 그릇 속의 음식물이 남김없이 다 비워졌다란 의미예요. 다할 진. 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盡力(진력), 燒盡(소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蝶은 (벌레 충)과 枼(葉의 약자, 잎사귀 엽)의 합자예요. 나뭇잎처럼 얇은 날개를 가진 곤충이란 의미예요. 나비 접. 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蝶翎(접령, 나비의 날개), 蝶兒(접아, 나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絶은 糸(실 사)와 刀(칼 도)와 卩(節의 약자, 마디 절)의 합자예요. 칼을 가지고 실을 잘라 길고 짧음을 조절한다는 의미예요. 끊을 절. 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絶交(절교), 謝絶(사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歸는 止(그칠 지)와 帚(婦의 약자, 아내 부)와 臣(신하 신) 중첩자가 합쳐진 거예요. 시집가다란 의미예요. 시집을 가는 것은 한 사람의 아내가 되고 자신이 살 곳을 찾아 머무는 것이기에 止와 帚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臣의 중첩자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시집을 가면 남편과 시부모에게, 신하가 임금에게 복종하듯, 복종하며 지내야 한다는 의미로요. 돌아갈(시집갈) 귀. 歸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歸家(귀가), 回歸(회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煙은 火(불 화)와 堧(빈터 연)의 합자예요. 연기란 의미예요. 火로 뜻을 표현했어요. 堧은 음을 담당해요. 연기 연. 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吸煙(흡연), 煙幕(연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왕탁은 명조(明朝)의 신하였다가 정복국인 청조(淸朝)에 출사한 부끄러움 때문에 평생 이[齒]를 드러내고 웃지 않았다고 해요. 이런 강한 자기 단속이 이 시에서도, 특히 말미의 두 구에서, 느껴져요. 이 시의 창작 연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이 느낌으로 추정해보면, 청조에 출사한 이후가 아닐까 싶어요. 사진은 인터넷에서 우연히 찾았는데 출처를 잊었어요. 글씨는 왕탁이 직접 쓴 글씨가 아니고, 정봉집(程峯集) 이란 분이 쓴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