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짝 푸른 시내 흙과 돌이 가로막아 / 가득히 고인 물이 막혀서 돌아들 때 / 긴 삽 들고 일어나서 일시에 터뜨리니 / 우레처럼 소리치며 쏜살같이 흘러간다 / 이 어찌 통쾌한 일 아니겠는가 (송재소 역, 다산시선, 118)

  

다산의 이 어찌 통쾌한 일 아니겠는가[不亦快哉行]란 연작시 중 한 수예요. 답답하게 고여 있던 시내 둑을 터뜨려 흘려보내면서 느끼는 통쾌함을 그렸어요. 이 어찌 통쾌한 일 아니겠는가연작시는 오랜 유배생활로 심신이 답답했을 다산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답답한 일들이 일거에 해소되는 내용들을 그리면서 자신의 처지도 그같이 해소되었으면 하는 기원을 담고 있어요

  

살다보면 이런저런 인정(人情)과 세사(世事)에 얽매이기 마련이죠. 그물에 걸린 새와 같은 처지라고나 할까요? 답답함이 바로 삶의 본질 아닐까, 라는 생각조차 들죠. 이런 삶에서 이따금 가뭄의 단비처럼 자신의 뜻대로 성취되는 일이 생기면 그야말로 쾌재(快哉)를 부를 거예요. 그러나 과연 그런 일이 얼마나 될까요? 다산 역시도 쾌재를 부르고 싶었지만 끝내 쾌재를 부르지 못했잖아요?

  

사진은 쾌재정(快哉亭)이라고 읽어요. 나재(懶齋) 채수(蔡壽·1449~1515)가 머물던 정자 이름이에요. ‘쾌재, 알려진 대로, ‘마음먹은 대로 일이 잘되어 만족스럽게 여기거나 혹은 그럴 때에 내는 소리라는 의미예요. 채수는 조선 전기 문신으로 주로 성종 · 연산군 · 중종시기에 벼슬을 했던 사람이에요. 임금들의 이름이 말해주듯 정치적 명암이 교차하던 시기를 살았기에 환로(宦路)를 걸었던 그로서는 고민이 많았을 것으로 보여요. 이 정자는 그가 벼슬자리에서 물러나 상주에 은거할 적에 지은 거예요. 쾌재정에 걸린 시를 보면 그가 왜 정자 이름을 쾌재라고 붙였는지 짐작할 수 있어요.

  

내 나이 금년 예순여섯 / 지난일 생각하니 모두가 아득키만 / 소년 시절 재주 출중했고 / 중년엔 공명 또한 뛰어났지 / 무정한 세월 흘러 이제는 탄식만 / 청운의 길 아득한데 말 걸음은 제자리 / 어찌하면 티끌세상 일 다 던지고 / 봉래산 신선과 벗이 될 수 있을지

  

정자 이름을 쾌재라고 지은 것은, 역설적으로, 그렇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반영한 거예요. 그의 불쾌재한 심사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시 내용 만으로 보면 출중한 능력을 자부하는 자신이 현실에서 그런 능력을 제대로 펴지 못했던 데서 오는 울울함이 불쾌재의 주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여요

  

그런데 그 원인의 뿌리는 또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삶 자체가, 앞서 말했던 대로, 인정과 세사에 얽혀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시의 마지막 두 구절 어찌하면 티끌세상 일 다 던지고 / 봉래산 신선과 벗이 될 수 있을지는 이런 추정이 무리 없다는 것을 말해줘요. 아울러 두 구절은 그가 생각한 진정한 쾌재가 무엇인지도 말해줘요. 바로 인정과 세사의 그물을 벗어버릴 때 가능한 것이라는 거죠. 쾌재정의 쾌재는 채수의 현실과 이상을 반영한 이름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한자를 자세히 살펴볼까요?

  

(마음 심)(터놓을 쾌)의 합자예요. 일이 뜻대로 되어 기쁘다는 의미예요. 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뜻대로 일이 성사되어 파안대소(破顔大笑)한다는 의미로요. 쾌할 쾌.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爽快(상쾌), 欣快(흔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입 구)(재앙 재)의 고자(古字)가 합쳐진 거예요. 문장의 중간이나 말미에 사용되는 감탄 어미(語尾)예요. 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의 고자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천재(天災)처럼 분명하게 감탄의 의미를 표현하는 어미가 라는 의미로요. 어조사 재.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哀哉(애재, 슬프구나!), 賢哉(현재, 어질도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높을 고)(의 약자, 못 정)의 합자예요. 못처럼 길쭉하게 높은 곳에 설치한 건물이란 의미예요. 정자 정.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樓亭(누정), 亭子(정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여담. 살면서 인정과 세사의 그물을 벗어나는 방법이 있을까요? 불교의 무아(無我)나 유교의 극기복례(克己復禮)가 그것 아닐까, 생각해 봐요. 인정과 세사의 그물에 걸리지 않으려면 욕구의 충족보다는 욕구의 극복이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죠. 욕구의 극복은 결코 허무적인 것이 아니라 삶을 적극적으로 살기 위한 진취적인 것이라 생각해요. 만일 무아나 극기복례가 허무적인 것이었다면 그토록 오랜 세월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덕목일리 없었겠죠. 비록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아도 그것이 분명 의미 있는 덕목이라는 것을 희미하게나마 느끼고 있었기에 오랜 세월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남았던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이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덕목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