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는 곧 그 사람이다란 말이 있어요. 문체 속에는 그 사람을 대변하는 제요소가 들어가 있다란  의미예요. 그래서 어떤 사람은 문체 수련을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는 말을 하기도 해요. 어차피 천품은 감출 수 없으니 인위적으로 문체 수련을 한다하여 무슨 특별한 문체가 만들어지겠냐는 거죠. 그저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충실히 하면 그것이 그만의 문체가 된다는 거예요. 일리 있는 말이에요. 혹 문체에 답답함을 느낀다면 문장 수련에 힘을 쏟기 보다는 뒤늦게라도 인격을 수련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 하는 것 아닐까 싶어요.

  

그런데 문장에 그 사람의 개성이 묻어나듯 시에도, 마찬가지로, 그 사람의 개성이 묻어난다고 생각해요. “시는 곧 그 사람이다라고 보는 거죠. 시를 읽어보면 자연스럽게 그 사람의 천품을 알 수 있기 때문이에요.

  

사진은 재도천중만국명(纔到天中萬國明)”이라고 읽어요. “하늘 한 가운데 이르니 온 세상이 밝도다라는 뜻이에요. ‘무엇이란 주체가 빠져있는데, 쉽게 짐작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요, 태양이 그 주체예요. 이 구절 앞에는 본디 한 구절이 더 있는데 그것을 함께 읽으면 주체인 태양의 위상을 한결 더 깊이 인식할 수 있어요. 생략된 구절은 미리해저천산암(未離海底千山暗)”인데 아직 바다 밑을 떠나지 않았을 적엔 온 세상 산이 다 어둡더니라고 풀이해요

  

두 구절, 특히 사진의 구절에서 어떤 느낌이 느껴지시는지요? 저는 웅대한 기상을 느꼈어요. 단순히 태양이 뜨기 전 후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그것에 의탁하여 자신의 웅대한 기상을 표현한 것으로 말이죠. 태양이 뜨기 전의 모습은 미미한 현재의 모습을, 태양이 중천에 뜬 모습은 세상에 자신의 뜻을 편 모습을 그린 것으로. 이런 정도의 웅대한 기상은 흔히 제왕의 기상이라고 하죠

  

이 시는 송나라를 건국한 조광윤이 미미한 신분 시절에 지은 것이라고 해요. 이 시를 지을 적에 조광윤이 천하를 바로 세우겠다는 당말 510국의 혼란 시기였기에 야망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이 시에는 그런 야망, 아니 웅혼한 기상이 잘 드러나 있어요. 이런 웅혼한 기상의 표현은 시구를 조탁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에요. 타고난 천품이 있을 때 가능한 것이죠. 시는 곧 그 사람이니까요

  

사진은 한 지인이 한자를 모르겠다고 - 특히 첫 번째 한자 - 알려달라고 보낸 거예요. 덕분에 좋은 글감을 얻었어요

  

낯설게 보이는 두 글자만 자세히 살펴볼까요?

  

(실 사)(토끼 참)의 합자예요. 붉은 색에 약간의 검은 빛이 감도는 옷감이란 뜻이에요. 로 뜻을 표현했어요. 은 음()을 담당해요. 지금은 이 뜻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겨우라는 부사의 의미로 사용해요. ‘겨우라는 의미는 약간의 검은 빛이 감돈다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겨우 재.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今纔(금재, 이제 / 겨우), 纔小(재소, 조금 / 잠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이를지)(칼 도)의 합자예요. 이르다란 뜻이에요. 로 뜻을 표현했어요. 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칼은 예리하여 사물에 빠르게 접촉되는데, 그처럼 빠르게 이르렀다란 의미로요. 이를 도.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到着(도착), 到達(도달)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여담. 우리나라 개국 왕조 인물 중에도 송태조 조광윤과 같은 풍의 시를 지은 사람이 있어요.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가 그이인데, 제가 보기엔, 송태조 조광윤에 비해 기상이 약간 떨어져요. 그래도 확실히 범인(凡人)의 경지는 넘어선 인물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여요. 이 시 역시 억지로 조탁한 것이 아니고 타고난 천품이 자연스럽게 발로된 거라고 봐요.

  

引手攀蘿上碧峰 인수반라상벽봉    칡덩굴 부여잡고 푸른 봉우리에 오르니

一庵高臥白雲中 일암고와백운중    암자 하나 높이 흰 구름 속에 누워 있네

若將眼界爲吾土 약장안계위오토    만약 눈에 들어오는 곳을 모두 우리 땅으로 한다면

楚越江南豈不容 초월강남기불용    강남의 초나라 월나라들 마다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