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거긴 절이 아니예요!”

 

“‘가 들어가 있으니, 절 아니니?”

 

오래 전 어머니와 나눈 대화의 일절. 동네 분들과 현충사를 방문하게 됐는데, 어머니는 현충사를 절 이름으로 알고 계셨어요. 절 이름에 붙는 가 들어가 있으니 그렇게 생각하실 만도 했죠. 하지만 당시 어렸던 저는 (절 사)’가 아니고 (사당 사)’라는 걸 알려드릴 만한 지식이 없었어요. 다만 수학여행 때 현충사를 다녀온 경험으로 절이 아니란 것만 알고 있었을 뿐이죠. 어머니는 제 말에 흔쾌히 동의하지 않으셨어요.

 

현충사.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한 번쯤은 방문했을 장소이죠. 특히 70년대 학교를 다녔던 분들은, 제 경험으로 미루어 보건데, 거의 반강제적으로 이곳을 다녀오지 않았을까 싶어요. 현충사가 국민 교육장처럼 된 데는 박정희 대통령의 입김이 컸죠. 박정희 대통령은 왜 이순신을 그렇게 띄웠던 걸까요?

 

답은 현충에 있는 것 같아요. 국가에 대한 충성, 아니 당시 상황으로 말하면 조국 근대화의 기수를 양성하기 위해 이순신을 띄웠던 것 아닐까 싶은 거죠. 조국 근대화를 위해 분골쇄신(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할 수 있는 역군을 양성하기 위해서 말이죠. 이런 점은 처음 현충사라는 편액을 내렸던 숙종도 마찬가지였을 것 같아요. 다만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아니고 왕실과 조정에 맹종할 수 있는 신료를 길러낸다는 점이 다를 뿐이지.

 

그렇다면 정작 이순신 자신은 충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선조가 이순신을 자신의 대항마로 간주해 그를 의심하고 질시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죠. 이 점을 뒤집어 보면 이순신의 충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어요. 그는 맹목적 충견이 되는 것을 충이라 여기지 않고 양심에서 우러나오는 소리에 귀 기울인, 다시 말하면 충이란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 충실한 것을 충이라 여겼다고 보여요. 충(忠)은 자신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불편부당한[] 양심[]의 소리에 따라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예요. 이런 그였기에 선조의 무리한 출정 요구를 거부했고, 과거도 자신의 관할 지역에서 치르려 했던 것이죠(과거를 자신의 관할 지역에서 치르겠다는 것은 왕의 권한을 대신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과거는 왕이 주관하는 것이니까요. 선조가 이순신을 경계했던 것도 무리는 아니죠). 비록 그것이 지배자의 심기를 거스르는 일인 줄 뻔히 알고 있었음에도 말이죠.

 

사진은 현충사(顯忠祠) 정확하게는 구현충사 현판이에요. ‘현충은 충성을 드러내 찬양한다는 의미이고, ‘는 사당이란 의미예요. 현충사란 이름은 다른 분들의 사당 이름으로도 쓰여요. 다만 이순신 장군을 모신 현충사가 다른 현충사에 비해 널리 알려진 것 뿐 이예요. 낙관 부분은 정해(丁亥, 1707) 사월일(四月日) 선사(宣賜, 임금이 하사함)라고 읽어요. 사진은 아내가 동창들과 현충사에 놀러 갔다가 찍어왔어요. 당신도 옛날 우리 어머니처럼 현충사의 를 혹시 절 이름 끝에 붙는 로 생각한 것 아니냐고 물었더니, 알듯 모를 듯한 미소를 짓더군요. 현판을 한 참 응시하노라니, 불현 듯 에 관한 의문이 생겨 몇 마디 중얼거렸어요.

 

한자를 자세히 살펴볼까요?

 

(머리 혈)(살필 현)의 합자예요. 환하게 빛나는 머리 장식이란 의미예요. 은 뜻을, 은 뜻과 음을 담당해요. 햇빛 아래에서 실을 살펴본다는 의미로 본 의미 환하게 빛나는을 보충해 주고 있어요. 드러날 현.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顯彰(현창, 밝게 나타냄), 顯現(현현, 명백하게 나타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마음 심)(가운데 중)의 합자예요. 불편부당한 정직한 마음으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예요. 본디 개인적인 가치관이었는데 후에 공적인 가치관으로 변했죠. 충성 충.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忠誠(충성), 忠義(충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의 약자, 제사 사)(의 약자, 말씀 사)의 합자예요. 천지신명에게 제물을 별로 마련하지 못하고 축원의 말만 길게 하는 봄철의 제사란 의미예요. 사당이란 의미는 본 의미에서 연역된 거예요. 제사를 드리는 장소란 의미로요. 사당 사.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祠堂(사당), 祠宇(사우, 사당과 같은 의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여담. 위 한문 현판을 단 현충사는 구 본관으로 불리고,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 휘호 현충사 현판을 단 현충사는 신 본관으로 불려요. 신 본관의 박정희 대통령 한글 휘호를 떼고 구 본관의 현충사 현판(숙종 어필)을 달자는 의견이 있었는데, 둘 다 존치키로 결정 났어요(2018년 문화재청 결정). 구 분관과 신 본관이 별도로 있고 거기에 맞는 현판이 있으니 둘 다 존치키로 결정한 것이죠. 장군의 혼령은 어느 곳에 깃들이실지 궁금해요. 어쩌면 아무 곳에 깃들이지 않으실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