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을 따랴 전복을 따랴 서산 갯마을/ 처녀들 부푼 가슴 꿈도 많은데/ 요놈의 풍랑은 왜 이다지 사나운고/ 사공들의 눈물이 마를 날이 없구나."

  

저녁에 아내가 전복죽을 끓였어요. "웬 전복죽?" "요즘 힘들어 하는 것 같아서..." "흐흐흐~"

 

그런데 이런 표면적 호응(好應, 좋은 반응)과 달리 머릿속에는 조미미의 애절한 노래가  떠올랐어요. 서산 갯마을(위 인용문). 뿐 만 아니라, 춘향전에 나오는 시도 떠올랐어요.

 

金樽美酒千人血 금준미주천인혈   금술잔의 맛좋은 술 만백성의 핏물이요

玉盤佳肴萬姓高 옥반가효만성고   옥소반의 맛좋은 안주 만백성의 기름이로다

燭淚落時民淚落 촉루낙시민루락   촛불의 촛농 떨어질 때 백성들의 눈물 떨어지고

歌聲高處怨聲高 가성고처원성고   노랫소리 드높을 제 백성들의 원성 또한 높도다

 

맛있게 먹을 전복죽을 앞에 두고 이 무슨 궁상맞은 생각인가, 싶더군요. 그러면서, 한편으론, 이건 우리 세대가 살아온 체험으로 얻은 어쩔 수 없는 생각 아닐까, 싶기도 하더군요. 우리 세대는 흔히 베이비 붐 세대로 불리는데, 좀 더 정확하게는 새마을 세대라고 불려요. 70년대 초등학교를 다녔거든요. 우리는 성장과정에서 '맛있는 것' 보다는 '배부른 것'을 우선시 했어요. 당연히 전복죽 같은 것은 먹어본 적도 없고, 먹을 엄두도 내지 못했지요. 그런 것은 지위 높고 돈 많은 이들이나 먹는 것으로 치부했지요. 그리고, 자연스럽게, 그런 음식을 먹는 이들에 대해 부러움과 더불어 시샘도 갖게 됐구요. 전복죽을 대하며 '서산 갯마을'이나 춘향전의 시를 떠올린 건 잠재돼있던 이 마음이 일어났기 때문일 거예요.

 

이제 우리 세대는 일상에서 전복죽을 어렵지 않게 먹을 수 있게 됐어요(먹겠다는 결심만 하면). 그러나 여전히 전복죽은 특별한 음식이에요. 어렵지 않게 먹을 순 있지만 쉽게 먹진 못하지요. 돈 문제도 약간 있지만 그 보다는 마음의 문제가 더 커요. '맛 있고 영양가 있는 것' 보다는 '양 많고 배부른 것'을 선호하는 의식이 뿌리 깊이 박혀 있거든요. 더불어 먹는 것에 사치 부리는 것을 터부시하는 의식도 한 몫 하고요. 이 역시 궁상맞은 의식이겠죠?

 

전복죽을 먹으며 아내에게 이런 이야기를 늘어 놓았더니, 아내가 한 마디 했어요. "글쎄, 그게 꼭 궁상 맞기만 한 것일까?" 그리고 한 마디 더 덧붙였어요. "배불리 맛있게 먹어~" “

 

사진은 아내가 산 전복 포장지에서 찍었어요. '전복(全鰒)'이라고 읽어요. 한자를 자세히 살펴 볼까요?

 

(들 입)(의 약자, 구슬 옥)의 합자예요. 옥을 깊숙이[] 잘 보관한다, 란 의미예요. 온전할 전.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完全(완전), 全體(전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물고기 어)(의 약자, 회복할 복)의 합자예요. 전복이란 의미예요. 어패류이기에 로 뜻을 삼았어요. 은 음을 담당해요. 전복 복.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鰒魚(복어, 全鰒과 같은 뜻)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여담. 전복은 포() 혹은 석결명(石決明) 또는 구공라(九孔螺)라고도 불려요. 포는 전복을 말려 먹는데서 비롯된 명칭이고, 석결명은 전복이 암초에 기생하는데서 비롯된 명칭이며, 구공라는 전복의 껍데기 표면 구멍에서 비롯된 명칭이에요. 요즘은 대부분 양식을 하고 있는데, 1960년대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 생산을 시작했고 1974년부터 생산한 종묘를 양식어민에게 분양하고 있어요(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조미미의 '서산 갯마을'1972년에 발표됐어요. 양식 전복이 나오기 전의 전복 채취 모습을 보여주는 노래예요. 그래서 이 노래가 더 애절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