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https://blog.naver.com./kalsanja/220949136884>

 

필사는 정독중의 정독입니다.”

 

벌교 태백산맥 문학관에 들렸을 때 보았던 문구예요. 이 문구가 있는 공간에는 조정래 씨의 작품 『태백산맥』을 필사한 독자들의 원고지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더군요. 대단한 열성이라고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어요. 작품에 대한 애정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을거란 생각이 들더군요.

 

혹자는 필사의 무의미함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눈으로만 읽는 것 하고 직접 써가며 온 몸으로 읽는 것 하고는 확실히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마음에 드는 내용은 눈으로 보고 지나치기보다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하는 것이 인지상정인데, 이런 마음을 확대하여 전(全) 내용을 필사한다면 그 충족감은 배가(培加)될 것이 틀림없어요.

 

사진은 명필로 알려진 안평대군 이용(李瑢, 1418-1453) )의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이에요. 인터넷을 뒤적이다 우연히 얻었어요. 명첩을 임서한 것이 아니고, 타인의 시를 자신의 필체로 작품화한 것이에요. 시 내용에 공감 가는 바 있어 쓴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어요. 무슨 내용의 시 일까요?

 

小苑花開爛熳通   소원화개란만통      작은 동산 꽃 피어 찬란하게 빛나는데

後門前檻思無窮   후문전함사무궁      후문 난간 앞에 서니 생각이 새록새록

宓妃細腰難勝露   복비세요난승로      복비처럼 가는 허리 이슬조차 무거울 듯

陳后身輕欲倚風   진후신경욕의풍      진후처럼 가벼운 몸 바람에 하늘거리네

紅壁寂寥崖蜜暗   홍벽적요애밀암      고요한 홍벽 석청 말라가고

碧簾迢遞霧巢空   벽렴초체무소공      아득한 숲속 안개 집(벌집을 비유) 비어있네

青陵粉蝶休離恨   청릉분접휴리한      푸른 언덕 흰 나비야 이별 아쉬워 마렴

定是相逢五月中   정시상봉오월중      오월 중엔 반드시 서로 만나리니

   

이 시는 이상은(李商隱, 813-858)이 벌[蜂]을 두고 지은 영물시예요두구(頭句)에서는 벌을 바라보는 장소를, 함구(頷)에서는 벌의 외형적 특징을, 경구(頸句)에서는 벌의 생태를, 미구(尾句)에서는 벌의 말[言]을 빌어 시인의 마음을 가탁했어요. 전고(典故)를 통해 벌의 외형적 특징을 묘사하고 벌의 생태를 화려한 색감의 시어를 동원해 그린 것이 특징이에요.

 

표면적으론 벌의 외형과 생태를 그렸지만 은연중 자신의 처지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어요. 이슬도 이기지 못할 것 같은 가는 허리나 바람에 하늘거리는 몸매는 시인의 어려운 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했다고 보여요. 말라가는 석청과 비어있는 벌집 역시 시인의 힘든 상황을 가탁한 것이라 볼 수 있고요. 이런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단서는 두구에 있어요. 난만하게 피어있는 정원의 꽃들을 바라보며 기쁨을 느끼기보다 복잡한 생각으로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는 것은 바로 자신의 힘든 처지 때문이지요. 하지만 시인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어요. 미구에서 벌의 입을 빌어 나비에게 하는 말은 바로 시인 자신에게 들려주는 희망의 메시지예요. 이상은은 정치적 좌절과 생활고를 많이 겪었던 사람이에요. 이 시를 그의 삶과 연계해 이해하는 것이 단순한 영물시로 이해하는 것 보다 심도 있는 이해일거라 생각해요.

 

이런 시를 작품화한 안평대군도 상기와 같은 느낌을 받았을거라고 추정해 볼 수 있어요. 화려한 왕실 생활이지만 정치적으로 곤경 형 수양대군과의 갈등 에 처한 자신의 처지가 오버랩되어 작품화한 것이 아닐까, 싶은 거죠. 당연히 그러한 곤경을 벗어나고자 하는 희망도 가탁 했을 테구요. 이 작품의 창작 연대는 언제인지 알려져 있지 않아요. 추정이 틀리지 않다면 이 작품의 창작 연대는 그의 생애 후반기가 될 거예요.

 

 

낯선 한자를 자세히 살펴 볼까요?

 

爛은 火(불 화)와 闌(가로막을 란)의 합자예요. 익히다란 뜻이에요. 火로 뜻을 표현했어요. 闌은 음을 담당해요. 익힐 란. 빛나다란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빛날 란. 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燦爛(찬란), 爛熟(난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檻은 木(나무 목)과 監(살필 감)의 합자예요. 짐승을 가둬놓은 우리란 뜻이에요. 木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監은 음을 담당하면서(감→함)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우리란 가둬놓고 살펴보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이란 의미로요. 우리 함. 난간이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뜻이에요. 난간 함. 檻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檻車(함거, 죄인을 호송하는 수레), 檻欄(함란, 난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倚는 人(사람 인)과 奇(기이할 기)의 합자예요. 타인에게 의지한다는 뜻이에요. 人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奇는 음을 담당하면서(기→의)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의지는 보통 특별한 사람에게 한다는 의미로요. 의지할 의. 倚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倚子(의자), 寄倚(寄依와 동일, 의지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寥는 원래 廖로 표기했어요. 廖는 广(큰집 엄)과 膠(학교 교)의 약자가 합쳐진 거예요. 비어있다란 뜻이에요. 广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膠는 음을 담당하면서(교→료)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膠는 옛날의 대학 이름이었어요. 대학은 많은 학생을 수용해야 하기에 크게 비워둔다란 의미로 본뜻을 보충하고 있어요. 비어있을 료. 쓸쓸하다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뜻이에요. 寥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寂寥(적요), 寥落(요락, 쓸쓸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迢는 辶(걸을 착)과 召(부를 소)의 합자예요. 멀다란 뜻이에요.  辶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召는 음을 담당하면서(소→초)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소리쳐 불러야 할 정도로 거리가 멀다란 뜻으로요. 멀 소. 迢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迢遙(초요, 멀어 아득함), 迢(초초, 먼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遞는 辶(걸을 착)과 虒(뿔범 사)의 합자예요. 오고 간다란 뜻이에요. 辶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虒는 음을 담당하면서(사→체)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虒는 상상의 동물로 수륙(水陸)을 병행하는 동물이에요. 그같이 양쪽에서 오고간다란 의미로 본뜻을 보충해주고 있어요. 갈마들 체. 遞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遞信(체신, 우편이나 전신, 전화 등의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郵遞局(우체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蝶은 나비란 뜻이에요. 虫(벌레 충)으로 뜻을 나타냈고, 나머지는 음을 담당해요. 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얇은 나무 조각이란 뜻이에요. 이 뜻으로 본 뜻을 보충해주고 있어요. 그같이 얇은 날개를 가진 곤충이 나비란 뜻으로요. 나비 접. 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胡蝶夢(호접몽, 물아의 분별을 잊음), 蜂蝶(봉접, 벌과 나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蜂은 虫(벌레 충)과 夆(逢의 약자, 맞이할 봉)의 합자예요. 벌이란 뜻이에요. 虫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夆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무리를 지어 다니는 것이 벌의 특성이란 의미로요. 벌 봉. 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蜂蜜(봉밀, 벌꿀), 蜂起(봉기, 벌떼같이 일어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여담 하나. 작품의 글씨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어 인용 자료로 대신해요. 국보 제238. 세로 26.5, 가로 16.5. 견본(絹本). 56자를 행서로 썼으며, 필치는 원나라의 조맹부(趙孟頫)에 핍진(逼眞: 실물과 아주 비슷함)하면서도 웅혼(雄渾)하고 활달하여 개성이 잘 나타나 있다. 소품이면서도 작품에서 우러나는 기품은 안평대군 글씨의 특징을 대표하고 있어, 누구도 따를 수 없는 늠연함이 엿보이는 대작이다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에 수장되어 있는몽유도원도발(夢遊桃源圖跋)과 더불어 소원화개첩은 행서를 대표할 뿐 아니라 국내에 하나밖에 없는 귀중한 진본이다. 소원화개첩의 원시(原詩)는 당나라의 시인 이상은(李商隱)의 봉시(蜂詩)로 원문과 대조하였을 때 여덟 곳이 다르다. 2001년 도난당해 현재는 소원화개첩의 진적을 볼 수 없다(인용 출처: 다음(Daum) 백과).

 

여담 둘. 위에서 소원화개첩은 원시와 여덟 곳이 다르다고 했는데, 원시는 다음과 같아요. 대구(對句)는 원시가 좋으나, 시의(詩意)는 개작시가 더 나은 듯 해요.

 

 

小苑華池爛熳通  소원화지난만통      작은 동산 화려한 연못 찬란하게 빛나는데

後門前檻思無窮  후문전함사무궁      후문 난간 앞에 서니 생각이 새록새록

宓妃腰細才勝露  복비요세재승로      복비같은 가는 허리 이슬 겨우 견딜 듯

趙後身輕欲倚風  조후신경욕의풍      조비연같은 가벼운 몸 바람에 하늘거리네

紅壁寂寥崖蜜盡  홍벽적요애밀진      고요한 홍벽 석청은 말라가고

碧簾迢遞霧巢空  벽렴초체무소공      아득한 숲속 안개 집(벌집을 비유) 비어있네

青陵粉蝶休離恨  청릉분접휴리한      푸른 언덕 흰 나비야 이별 아쉬워 마렴

長定相逢二月中  장정상봉이월중      이월 중엔 반드시 서로 만나리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