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만 들어도 섬뜩한 '처녀귀신'. 여름이면 납량특집으로 어김없이 화면에 등장하는 처녀귀신을 요모조모 뜯어보는 책이 <처녀귀신>이다.  

어린 시절 시골생활을 해 본 사람이면 누구나 아련한 공포의 기억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이즈음의 생활과는 전혀 다른 당시의 환경에서 밤이 되면 가장 가기 싫은 곳이 바로 '뒷간'이었을 것이다. 집의 가장 으슥한 귀퉁이에 자리잡은 뒷간행은 정말이지 괴로운 경험이었다. 달이라도 휘영청 밝으면 그나마 다행이었지만 그믐의 어두운 밤이면 변이 마려워도 배를 눌러 가며 참을 수 있을 때까지 참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왜 그리도 뒷간엘 가기가 무서웠을까? 

바로 그 뒷간에는 어김없이 '귀신'이 나타나 끌어당길 것 같았기 때문이다. 만약 집 근처에 대나무 숲이라도 있을라치면 스스스거리는 댓잎소리를 배경으로 영락없이 소복입은 처녀귀신이 나타나 쥐도 새도 모르게 어딘가로 끌고 갈 것 같았다.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처녀귀신이 왜 나타나리요마는 우리의 정서엔 알게 모르게 처녀귀신의 공포가 내재되어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런 '한국형 처녀귀신'을 해부한 것이 이 책 <처녀귀신>인데, 저자는 조선시대 야담과 민담을 토대로 이를 자세히 분석한다. 저자는 우리에게 도깨비 혹은 귀신의 전형으로 '처녀'가 주로 등장하는 이유를 봉건시대 우리 여성들이 겪었던 불행한 삶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유교사회에서 여성은 자신의 주장이나 입장을 당당하게 밝힐 수 있는 기회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희생의 대상이었던 것에서 연원을 찾는 것이다. 억울한 죽음 혹은 죽임을 당한 여성들은 급기야 원혼의 모습으로 자신의 원한을 갚아 줄 누군가에게 나타나 진실을 밝히려 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저자의 분석과 설명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닐 것이다. 조선시대의 유교적 세계관에 대해, 그리고 그 시대 여성들의 핍박받던 삶에 대해 조금만 천착해보면 이는 쉽게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인 것이다. 그러니 저자의 내용전개에 자연히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한 가지 새삼스러운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처녀귀신으로 대표되는 우리 귀신과 드라큐라 등으로 대표되는 서양식 원혼 혼령 이야기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많은 문학작품, <오멘>류의 영화 등을 통해 접한 서양의 귀신 이야기는 주로 귀신들이 자신의 사연을 밝히기 보다는 현세의 누군가에게 집요하게 복수를 하거나 많은 이들에게 해꼬지를 하는 것으로 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반해, 우리네 귀신들은 자신에게 해악을 입힌 이들에게 직접적인 복수를 하기보다는 하소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즉, 귀신이 직접 자신의 복수극을 펼치기 보다는 누군가에게 대리역할을 맡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이 책 <처녀귀신>에서도 자세히 밝히고 있다. 대개 남성이기 마련인 어질고 현명한 관리의 손에 의해 진상이 밝혀지고 복수하며 원한을 푼 귀신은 그때부터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식이다.  

좀 거칠게 도식화 하자면, 우리네 귀신은 수동적, 간접적인 반면에(그러니까 자연히 주인공이 아니라 제일의 조연이다) 서양식 귀신들은 능동적이고 직접적인 행동파, 당연히 주인공이 되는 셈이다. 이런 점을 천착해보면 문화, 관습의 차이에서 빚어지는 뭔가의 탐색거리가 생길 듯도 하다....    

아무튼, 이 책은 제명에 걸맞게한여름의 더위에 맞는 문화적 탐색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없지 않다. 처음 전반부 초반에는 처녀귀신에 대한 종합분석을 시도하겠다는 야심을 보여주더니 점점 중반부 이후에는 자살의 사회문화적 분석 등에 치우쳐 본격적인 종합 <처녀귀신> 분석서로서는 궤를 벗어나 버렸다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그래서 갈증을 없애려다 김빠진 맥주에 얼굴을 찌푸리는 꼴이 되었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