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씨마을의 꿈>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딩씨 마을의 꿈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의 작가인 옌롄커의 작품을 손에 받아드는 순간 웃음을 머금을 수밖에 없었다. <爲人民服務>를 읽으면서 얼마나 요절복통 웃었던지 그 기억이 새록새록 솟아나면서 나도 모르게 슬금거리며 웃게 되었던 것이다. 그는 은근하고 차분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면서도 낄낄거리는 비아냥을, 그리고 때로는 서글픈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는 한편,  가슴저리는 아련한 슬픔, 애잔함 같은 걸 동시에 던져주곤 한다. 

이 소설 <딩씨 마을의 꿈>은 온통 붉은 빛이다. 노을이 핏덩이처럼 뭉쳐 있던 황혼에 물든 늦가을의 어느 날에 시작한 이 소설의 이야기는 주인공 할아버지(서술자인 '나'의 할아버지)가 상부에서 개최한 회의에 참석하고 딩씨마을(丁莊)로 돌아오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핏빛' 배경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급기야 '피팔기(賣血)'와 '피토하며 죽는 참상'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서술자는 샤오창이다. 열두 살의 나이로 독살당한 소년이다. 소설 속 사건 전반에 걸쳐 두루 활약하는 할아버지의 큰 손자이며 마을의 최대부자인 어버지 딩후이의 하나 뿐인 아들이었다. 아버지의 피뽑아 장사하기와 그로 인한 에이즈 감염때문에 독기를 품은 마을 사람 누군가에 의해 독이 든 토마토를 먹고 죽었다. 그리고는 마을의 초등학교 담벼락에 묻혔다. 그런 '나'는 마을의 일거수 일투족을 보며 마을 사람들의 삶과 죽음, 할아버지와 아버지 그리고 가족 친지들의 생활을 들여다 본다. 한바탕 꿈일 수 있겠다.  

이야기는 십여년 전 느닷없이 상부마을(그러니까 딩씨마을은 우리의 '리' 나 '면' 단위 쯤이고, 상부는 '군' 혹은 '시' 단위와 '도' 단위 일테다) 간부가 마을 찾아와 마을 사람들에게 '피'를 뽑아 팔기를 권장한다. 인체 속의 피는 마치 모래톱을 깊이 파면 지하수가 샘솟아 나오듯 적정량을 뽑으면 자꾸 퐁퐁 솟아나는 것이기에 규칙적으로 뽑아서 팔아도 문제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당연히 적정한 가격을 붙여 대가를 지불할 것이므로 새피를 갈아주니 건강에도 좋고 돈도 벌고 일석이조, 꿩 먹고 알 먹고,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격이라며 마을 사람을 설득한다. 처음에는 긴가민가 하던 마을 사람들이 먼저 매혈을 시작하여 잘살게 된 이웃마을을 탐방하기도 하면서 하나 둘 매혈의 대열에 합류한다. 이 과정에서 타고난 사업수완을 지닌 아버지 딩후이가 사설 매혈사업에 뛰어들어 일약 '피의 왕'으로 군림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한다.  

그러나 매혈로 인한 돈벌이로 즐거움을 누린 것도 잠시, 마을 사람들은 비위생적인 채혈로 인한 대대적인 에이즈 감염으로 고통을 겪고 죽음의 구렁텅이로 빠진다. 거의 모든 가정에 에이즈 환자가 발생하게 되고 이들은 할아버지의 권유로 학교에 모여 집단생활을 하게 된다. 그런 가운데, 에이즈에 감염된 나의 삼촌인 딩량은 같은 환자로 학교에서 공동생활을 하던 사촌 제수인 링링과 동병상련의 사랑에 빠지고 둘은 불륜의 행각을 계속한다. 한편, 아버지 딩후이는 매혈사업 뿐만 아니라 관사업, 영혼혼인사업 등으로 부를 더욱 축적하고 드디어는 신시가지로 이사를 떠나려 한다. 에이즈 환자가 창궐하고 마을 사람들이 죽음으로 내몰리게 된 저간에는 아버지의 무분별한 매혈사업이 있음을 알게 된 할아버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아버지더러 마을 사람들에게 사죄할 것을 종용하지만 아버지는 일언지하에 거절한다. 

가뭄과 뜨거운 태양빛 아래서 사람들은 죽어나가고 삼촌과 링링도 죽는다. 대지는 핏빛으로 타오르고 핏빛으로 물들어 간다. 우여곡절을 겪는 마을 사람들과는 달리 떼돈을 벌어들인 아버지는 신시가지에 아방궁 같은 호화스런 저택을 짓고 이사하고 드디어는 '나'의 영혼결혼을 대대적으로 준비한다. 딩씨마을 인근  멋진 언덕배기에 마련한 나의 새로운 묘지로 나의 백골과 영혼이 이장되던 날, 마침내 할아버지는 모든 죽은 이들과 산 자들의 염원을 대신하여 자신의 아들인 아버지를 뭉둥이로 내리쳐 살해한다. 할아버지는 자식 살해의 혐의로 수감되지만 그 자식의 불법부당한 착취와 부의 축적을 고발하므로써 수개월 후에 석방된다. 가뭄으로 타들어가던 대지에 비가 내려 흠뻑 적시고 새로운 잎들이 무성히 자라나는 시기를 맞춰 석방된 할아버지는 텅 빈 마을 찾아오는데, 대지의 소생과 함께 진흙탕 속에서 인간들이 불쑥불쑥 자라나는 광경을 목도하면서 이야기는 끝맺는다. 

시장경제를 수용하면서 중국이라는 거대한 땅덩이는 자본주의화 되고 그런 과정에서 오로지 이윤과 이익을 탐하는 무리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며, 한편으로 대다수 무지한 인민들은 그 착취의 그늘에서 가난과 질병의 나락으로 빠져들고 공동체적 삶의 기반도 파괴되기에 이른다. 이 소설은 오늘 중국의 이 비극적 실상을 그려내고 고발한다. 단순한 이야기를 통해 중국사회 전반의 비인간적 변모를 통렬히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상부의 간부들이 일방적인 지시로 인민의 피를 뽑아내고 딩후이같은 신흥자본가들이 갖은 방식으로 인민의 골수를 뽑아내는 중국의 현실은 가뭄으로 메말라 타들어가는 대지를 통해 형상화되고 있다. 

작가 옌롄커는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에서도 그랬듯이 중국의 개방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침탈 과정을 해학과 풍자를 통해 통렬히 비판하면서도 인간에 대한 믿음, 공동체적 질서에 대한 소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이 소설에서도 비가 내려 대지를 싱싱하게 만들고 진흙인간들이 새로이 탄생하는 장면을 통해 여전히 희망을 말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인민을 위해...>에 이어 이 소설 <딩씨마을의 꿈>마저 판매금지, 홍보금지 조치를 내려 '인민'이 작품을 접하지 못하게 한 배경에는 '희망' 보다는 자신들의 치부가 드러나는 것을 염려했음일 것이다. 본시 권력자들은 무엇이든 미래의 희망보다는 당장의 악을 덮으려고만 한다. 지금 현실의 악을 표면으로 드러내는 것이 더 큰 비극을 막고 새롭고 건강한 내일을 만들 수 있음을 알면서도 선뜻 동의하지 못하는 근시안적 태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다른 바가 없다.  

활기차고 서로를 보듬고 살뜰하게 보살피며 정을 나누는 행복한 <딩씨마을>이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기를 나도 <꿈>꾸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